- 발음
- [찌끼]
- 품사
- 「명사」
- 「001」‘찌꺼기’의 준말.
- 술장사 재미 붙이면 영감 오줌 찌끼도 못 버린다더니…….≪이문희, 흑맥≫
관련 어휘
- 본말
- 찌꺼기
역사 정보
즛의(15세기~17세기)/의(15세기)>즈싀(16세기)>즛(17세기)>즉긔(17세기)>즈의(18세기)>찌끼(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찌끼’의 옛말 ‘즛의’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즛의’는 ‘의’로도 나타났다. 16세기에는 ‘즛의’가 연철된 ‘즈싀’가 나타났고 18세기에는 ‘ㅅ’이 빠진(혹은 ‘ㅿ’이 빠진) ‘즈의’가 나타나기도 했다. 17세기에는 어중에 ‘ㄱ’이 포함된 ‘즛’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ㄱ’에 의한 자음 동화가 일어난 ‘즉긔’도 나타났다. 이 어형이 ‘즈끼’를 거처 ‘ㅈ’ 아래에서 ‘ㅡ’가 ‘ㅣ’로 전설 고모음화를 입은 ‘지끼’로 나타났을 것이다. 20세기 이후 ‘지끼’는 경음화를 입은 ‘찌끼’로 나타나 현재에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즛의, 의, 즈싀, 즛, 즉긔, 즈의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