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지저귀다발음 듣기]
활용
지저귀어[지저귀어발음 듣기/지저귀여발음 듣기], 지저귀니[지저귀니]
품사
「동사」
「001」새 따위가 계속하여 소리 내어 울다.
온종일 지저귀는 참새.
봄이면 이름 모를 산새들이 지저귄다.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에 눈을 떴다.
처마 끝에 달린 새장 속에 기르는 새들이 서늘한 바람에 따스한 볕을 받으면서 지저귀고 노는 것을 창순이 모이와 물을 주면서….≪한용운, 흑풍≫

역사 정보

지져귀다(16세기~18세기)>지져괴다(17세기~19세기)>지저귀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지저귀다’의 옛말 ‘지져귀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부터는 모음 조화를 어긴 어형인 ‘지져괴다’가 나타나 18세기까지 ‘지져귀다’와 공존한다. 19세기에는 ‘지져괴다’만 나타나며 20세기 이후에는 다시 ‘지저귀다’가 나타난다. 이를 통해 19세기에도 문헌상에만 드러나 있지 않을 뿐 ‘지져귀다’가 존재했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근대 이후에 ‘ㅈ’이 경구개음으로 자리 잡으면서 ‘ㅈ’ 아래의 ‘ㅕ’가 ‘ㅓ’와 구분되지 않게 되어 20세기부터는 ‘지저귀다’로 표기되어 현재에 이른다.
이형태/이표기 지져귀다, 지져괴다
세기별 용례
16세기 : ((지져귀다))
지져귈 훤 ≪1576 신합 하:7ㄱ
17세기 : ((지져귀다, 지져괴다))
聒噪 지져귀다1690 역해 하:49ㄱ
敢히 코 플며 춤 바며 지져괴며 브지지기 父母 舅姑 겻셔 말며 ≪1632 가언 2:7ㄴ
18세기 : ((지져귀다, 지져괴다))
喧嚷 지져귀다1775 역보 23≪1775 역보 23ㄱ
이 나그들 엇지 이리 간대로 지져괴다1765 청노 3:20ㄱ
19세기 : ((지져괴다))
그 어즈러이 지져괴믈 분히 넉여 밤이 깁고 갓치 들기 기려 ≪1852 태상 5:50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