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조르다

- 활용
- 졸라[졸라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동이거나 감은 것을 단단히 죄다.
- 허리띠를 조르다.
- 정 급하면 초병 한 명쯤 남의 눈을 피해 목을 조르고 잠시 정신을 잃게 한 후에 총을 훔쳐 달아나기에는 아주 적당한 장소였다.≪최인호, 지구인≫
- 방문이 발칵 열리든지 뒤에서 누가 내 목을 눌러 조를 것만 같아 나는 바쁘게 자리를 피했던 것이다.≪김원일, 노을≫
- 숙소에서는 왜 아무 소리가 없지? 혹시 저 나쁜 놈이 만에 하나 목이라도 졸랐으면….≪한수산, 부초≫
역사 정보
다(15세기)>르(18세기)>조르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조르다’의 옛말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ㅇ-’으로 교체하는 불규칙 용언이었다. 17세기 이후에는 ‘ㅇ-’ 대신 ‘ㄹ-’이 나타난다. 근대 이후 ‘ㆍ’가 제2음절 이하에서부터 소실되면서 18세기에는 ‘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후에 제1음절의 ‘ㆍ’가 ‘ㅗ’로 변화하여 ‘조르다’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즉 20세기 이후에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조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졸ㄹ-’로 교체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 ㅇ-, 르-, ㄹ-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