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점ː따발음 듣기]
활용
젊어[절머발음 듣기], 젊으니[절므니발음 듣기], 젊고[점ː꼬발음 듣기], 젊지[점ː찌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나이가 한창때에 있다.
젊은 시절.
한 쌍의 젊은 남녀.
그녀는 젊어서 남편을 잃었다.
그녀는젊고 아름다웠다.
젊은 사람들은 어디 가고 노인네가 김을 매십니까….≪박경리, 토지≫
재물보다 강한 무기는 그들이 젊다는 것이다. 조준구 자신보다 절반이나 젊다는 것이다.≪박경리, 토지≫
그가 좀 더 젊어서는 노름꾼으로 유명하였다.≪이기영, 봄≫

관련 어휘

참고 어휘
늙다
지역어(방언)
점글다(제주)

역사 정보

졈다(15세기~18세기)>졂다(18세기~19세기)>젊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젊다’의 옛말인 ‘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 문헌에 ‘뎜다’가 보이는데 이는 ≪두시언해≫ 중간본에 나온 예이다. ≪두시언해≫ 초간본에 같은 문장에서 ‘졈다’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뎜다’는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한 구개음화를 의식하여 ‘뎜’의 ‘ㅈ’을 ‘ㄷ’이 구개음화를 겪은 것으로 잘못 이해하여 과도 교정한 결과라 할 수 있다. 18세기 문헌에 ‘졂다’가 나타나는데 ‘졈다’의 제1음절 종성 ‘ㄹ’이 ‘ㄻ’으로 바뀐 이유는 설명하기 어렵다. ‘졂다’는 치음이었던 ‘ㅈ’이 근대 국어 시기에 구개음으로 바뀌어 ‘져’와 ‘저’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19세기 문헌에서부터 ‘젊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중세 국어에서 ‘졈다’는 “나이가 어리다”의 의미로 쓰였는데 현재의 ‘젊다’는 “나이가 한창때에 있다”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졈다, 뎜다, 졂다, 젊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졈다))
내   뒤쇼 져머 어리오 ≪1447 석상 11:28ㄱ
16세기 : ((졈다))
나히 져머셔 아비 죽거 ≪1514 속삼 효:24ㄱ
17세기 : ((졈다, 뎜다))
져머실 적브터 어버이 셤기믈 효도롭더니 ≪1617 동신속 효4:70ㄴ≫
뎌믄 젯 나 밋디 몯며 ≪1632 두시-중 21:37ㄱ
18세기 : ((졈다, 졂다))
后ㅣ 져머셔브터 貞靜시며 ≪1737 어내 2:77ㄱ
졈지 아닌 사이 졀믄 사과 詰亂여 ≪1790 인어 2:11ㄴ
19세기 : ((졂다, 젊다))
졀머셔 산 즁에 들어 공부더니 ≪1852 태상 1:21ㄴ
졈다 少年 졂다1880 한불 546
졀믄이 졂다 절믄이 少年 ≪1880 한불 552

관용구·속담(7)

속담젊어서[젊었을 때] 고생은 금[논밭전지를] 주고도 못 산다
초년고생은 은 주고 산다’의 북한 속담.
속담젊어서는 내외간밖에 없고 늙어서는 자식밖에 없다
젊었을 때는 부부간의 사랑과 정이 지극하여 그 이상의 것이 없는 것 같지만 늙으면 자식이 더욱 귀히 여겨진다는 말.
속담젊어서는 색으로 살고 늙어서는 정으로 산다
부부가 젊었을 때에는 불같은 사랑으로 살지만 늙은 다음에는 서로 믿고 아끼는 따뜻한 정으로 살아간다는 말.
속담젊어서 소 타 보지 않은 령감이 없다
젊었을 때에 무슨 큰일이나 치른 것처럼 희떱게 제 자랑을 늘어놓음을 핀잔하는 말. <동의 속담> ‘소시적에 호랑이 안 잡은 시어미 없다’ ‘젊어서 팥 한 섬 못 지고 다녔다는 시어머니 없다
속담젊어서 팥 한 섬 못 지고 다녔다는 시어머니 없다
젊었을 때에 무슨 큰일이나 치른 것처럼 희떱게 제 자랑을 늘어놓음을 핀잔하는 말. <동의 속담> ‘젊어서 소 타 보지 않은 령감이 없다’ ‘소시적에 호랑이 안 잡은 시어미 없다
속담젊은 과부 한숨 쉬듯
시름이 깊어 한숨을 자주 쉬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젊은 놈의 망녕은 몽둥이로 다스리랬다
젊은이 망령은 몽둥이로 고친다’의 북한 속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