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자국발음 듣기]
활용
자국만[자궁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다른 물건이 닿거나 묻어서 생긴 자리. 또는 어떤 것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가 달라진 흔적.
글씨 자국.
눈물 자국.
빵에 누군가 손댄 자국이 있다.
칵테일 컵의 주둥이에서 연분홍빛 루주 자국과 기다란 머리칼 한 올을 알아보았다.≪박영한, 인간의 새벽≫
한 무더기의 서류 뭉치가 시뻘건 인주 자국과 함께 내밀어진다.≪한수산, 유민≫
그다지 더럽진 않았지만 잔주름은 물론 쥐어짠 자국에다 빨랫줄 자국까지 그대로 남아 있었다.≪박완서, 미망≫
수십 번 사용했던 간판은 덧칠하고 덧칠한 페인트 자국으로 얼룩져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역사 정보

자곡(15세기~18세기)>자국(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자국’의 옛말인 ‘자곡’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시기에 제2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바뀌면서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자국’ 형태가 등장하였다.
이형태/이표기 자곡, 자국
세기별 용례
15세기 : (자곡)
이 무렛 사 즌 며 므거 돌 지 야 漸漸 困며 漸漸 므거 자곡마다 깁니 ≪1459 월석 21:102ㄱ-ㄴ
자곡과 큰 바 엇뎨 마초아 혜리오 ≪1465 원각 하 2-1:64ㄴ
大海ㅅ 므를  자고개 몯 담야 부텻 智海 녀느 사미 디니리 업거늘 ≪1459 월석 25:113ㄴ
16세기 : (자곡)
轍 술윗 자곡 텰 ≪1576 신합 하:58ㄱ
18세기 : (자곡)
鞭根痕 매ㅅ 자곡1748 동해 하:8ㄴ
19세기 : (자국)
자국 跡 ≪1895 국한 245

관용구·속담(2)

관용구자국(을) 밟다
사람이나 동물이 남긴 발자국을 따라 뒤쫓다.
  • 지난밤 눈 때문에 범인의 자국을 밟아 나가기가 수월하였다.
관용구자국을 짚다[치다]
자국(을) 밟다’의 북한 관용구.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