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름답따

- 활용
- 아름다워[아름다워


- 품사
- 「형용사」
- 「001」보이는 대상이나 음향, 목소리 따위가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눈과 귀에 즐거움과 만족을 줄 만하다.
- 아름다운 목소리.
- 그녀의 눈이 아름답게 빛나고 있었다.
- 그곳의 경치는 아름답기로 소문났다.
- 마을의 뒷산에서는 황금빛 목덜미를 두른 동박새가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하고….≪문순태, 타오르는 강≫
- 뒤꼍의 한 그루 수양버들은 햇볕과 연둣빛이 어울리어 눈부시게 아름다웠다.≪박경리, 토지≫
- 노파가 말을 할 때 동박새가 피리소리처럼 아름답게 울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신부는 조금 나이 들어 보이긴 했지만 곱게 화장을 했기 때문에 아름답고 매력적이었다.≪최인호, 지구인≫
- 고집스레 도보로 넘은 이름 모를 영마루의 아름답던 단풍과 쪽빛 하늘이 기억난다.≪이문열, 그해 겨울≫
- 그녀는 눈부시게 아름답다.
- 이 꽃은 아름답기는 하지만 향기가 없다.
- 향로봉은 험한 산이지만, 경치가 그림처럼 아름답다.
- 물을 털고 나온 서희는 옥을 깎아 만든 듯 단려하고 아름다운 몸을 수건으로 닦은 뒤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박경리, 토지≫
- 채상철이 다시 의식을 회복하자 가장 먼저 그의 눈에 비친 영상은 처녀의 아름다운 얼굴이었다.≪유주현, 대한 제국≫
- 피아골 골짜기에 다섯 가지 색깔의 단풍이 꽃보다 더 아름답고 찬란하게 물들어 흐드러질 무렵, 갑자기 하늘에 비행기들이 요란하게 떼 지어 날기 시작했다.≪문순태, 피아골≫
- 김지숙한테서 받은 한 송이의 그 꽃은 너무나 소중하고 아름답기만 하였다.≪문순태, 피아골≫
- 소영은 선머슴 같은 차림이었음에도 아름답다고 할 수 있는 이목구비와 몸매를 나타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그녀는 너무 아름답다는 이유 때문에 그에게는 상당히 불안한 여인이었다.≪홍성원, 육이오≫
관련 어휘
- 옛말
- 아-답다
역사 정보
아답다(15세기~19세기)>아름답다(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름답다’의 옛말인 ‘아답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답다’는 어근 ‘아’과 형용사파생접미사 ‘-답-’이 결합한 것이다. 어근 ‘아’의 정확한 의미는 알 수 없다. 중세국어에 ‘개인적인 것, 사사로운 것’을 의미하는 ‘아’은 ‘아답다’의 ‘아’과 형태는 동일하나 의미상으로는 연결되지 않는다. ‘아답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아-’으로 나타났는데, 15세기 중엽에 ‘ㅸ’이 ‘ㅣ’를 제외한 다른 모음 앞에서 ‘ㅗ/ㅜ’로 변화하면서 ‘아-’이 ‘아다오-’로 변화하였다. 16세기에는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ㅏ’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아름답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19세기에는 모음조화가 파괴되어 현대 국어와 같은 ‘아름다우-’ 형태가 등장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아답-, 아-, 아다오-, 아름답-, 아름다오-, 아름다우-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