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시키다

- 활용
- 시키어[시키어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 …을】【…에/에게 -게/도록】【…에/에게 -고】【…을 …을】【…을 -게/도록】【…을 -고】
- 「001」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게 하다.
- 인부에게 일을 시키다.
- 감사과에 각 과의 감사를 시키다.
- 선생님은 지각한 학생들에게 청소를 시키셨다.
- 아버지는 아들에게 할아버지를 편하게 모시도록 시켰다.
- 일꾼들에게 담을 대충대충 쌓지 말고 제대로 쌓도록 시켰다.
- 그는 부하들에게 집 주변을 빈틈없이 수색하라고 시켰다.
- 그들은 나쁜 짓을 하라고 시켜도 못 할 순박한 사람들이다.
- 돼지 죽통에 무얼 좀 주라고 시켜야겠다고 하면서도 을생의 입에서는 만필이를 부르는 대신 열에 들뜬 신음 소리가 먼저 새어 나왔다.≪한수산, 유민≫
- 아버지는 자식들을 험한 농장일을 시키면서 가슴속으로 눈물을 흘리셨다.
- 선생님은 아이들을 청소를 하게 시키고 퇴근하셨다.
- 사장은 직원들을 일정량의 회사 상품을 나가서 팔도록 시켰다.
- 유괴범은 아이의 부모를 지정된 장소로 돈을 가지고 나오라고 시켰다.
- 감독은 선수들을 운동장을 해 질 때까지 뛰라고 시키고는 자리를 떠났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시기다(15세기~19세기)>식히다(19세기)>시키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시키다’의 옛말인 ‘시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19세기에는 ‘시기다’를 과잉 분철 표기한 ‘식이다’의 예도 나타난다. 19세기에 제2음절의 초성 ‘ㄱ’이 유기음으로 바뀌어 현대 국어와 같은 ‘시키다’ 형태로 변화하였는데, 실제 문헌상으로는 ‘시키다’의 ‘ㅋ’을 ‘ㄱㅎ’으로 재음소화하여 표기한 ‘식히다’의 예만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시기다, 식이다, 식히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시키는 일 다 하고 죽은 무덤은 없다
- 일은 하려고 하면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일 다 하고 죽은 무덤 없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