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벼슬

- 품사
- 「명사」
- 「001」관아에 나가서 나랏일을 맡아 다스리는 자리. 또는 그런 일. 구실보다 높은 직이다.
- 높은 벼슬과 후한 봉록.
- 벼슬 살다.
- 벼슬을 사다.
- 벼슬을 지내다.
- 그는 벼슬 한자리 못 해 보았다.
- 이 서울 양반이 혹시 통정대부 따위 지체 높은 벼슬을 지낸 사람이라면 문전성시를 이루는 문객으로 오히려 사람멀미를 느낄 판이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자네 고조부께서는 참판 벼슬까지 하셨는데 이리 빈둥거리고 있어 쓰겠나?≪박경리, 토지≫
- “…믿어지지 않겠지만, 문중에 전해 내리는 말씀이 있다네. 여기에 묻힐 분은 정일품 벼슬 이상이어야 한다는 얘기지.” 당숙의 표정은 끝까지 근엄해 보였다.≪전상국, 하늘 아래 그 자리≫
- 그리고 끝내는 나라를 빼앗은 민족의 원수가 주는 벼슬과 돈에 노하기는커녕 침을 뱉고 돌아설 용기마저 없었다.≪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 그 노모는 상등병이란 것을 끔찍한 벼슬로만 알았고 그게 아들을 죽음터로 몰고 갈 줄은 꿈에도 상상하지 못했을 것이었다.≪이병주, 지리산≫
역사 정보
벼슬(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벼슬’은 15세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형태의 변화 없이 계속 쓰이고 있는 단어이다. 16세기부터 ‘벼’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이미 16세기에는 ‘벼’이 ‘벼슬’보다 더 광범위하게 쓰였다. 16세기 이후로는 ‘벼슬’과 ‘벼’이 공존하였는데 ‘벼슬’보다는 ‘벼’이 더 선호된 것으로 보이지만 19세기 이후 ‘벼슬’로 정착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벼, 벼슬, 베슬, 벼, 벼살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벼슬은 높이고 뜻은 낮추어라
- 높은 자리에 앉게 될수록 겸손해야 한다는 말. <동의 속담> ‘지위가 높을수록 마음은 낮추어 먹어야’
- 속담벼슬하기 전에 일산 준비
- 과거에 급제하기 전에 높은 벼슬아치들만이 쓰는 일산을 마련한다는 뜻으로, 일이 장차 어떻게 될 것인지도 모르면서 다 된 것처럼 서둘러 준비를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