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가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

역사 정보

(15세기~16세기)>(16세기~19세기)>가(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가’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의 ‘’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단독으로 실현될 때에는 ‘’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결합할 때에는 ‘’으로 실현되어 ‘/’의 교체를 보였다. 16세기에 ‘ㅿ’이 소멸하여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 ‘’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8세기 후반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뿐 아니라 단독으로 실현되는 경우에도 ‘’로 나타나면서 ‘’와 ‘’이 ‘’로 통일된 것으로 보인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도 이러한 변화를 겪었다. ‘ㆍ>ㅏ’의 변화를 겪은 ‘가’가 19세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현대 국어에 이르렀다. 현재 남부 방언에서는 ‘’에서 ‘ㅿ’이 ‘ㅅ’으로 남은 ‘갓’으로 남아 ‘가새, 가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 , , 가, 갓
세기별 용례
15세기 : (, )
 아니 말이샤 밀므를 마시니 ≪1447 용가 68
祥瑞도 하시며 光明도 하시나 업스실 오 몯 뇌 ≪1447 월곡 10ㄱ
難陁 象 긼  티차 太子 象 드러 城 나티시고 ≪1447 석상 3:12ㄴ
이 淸淨 意根로  偈  句를 드러도 그지 업스며 업슨 들  알리니 이 들 알오 能히  句  ≪1447 석상 19:24ㄱ
16세기 : (, , )
우믌   믈 머기 돌구 잇니라 ≪1510년대 번노 상:31ㄴ
변 ≪1527 훈몽 중:4ㄴ
우믌 애 드레와 줄 다 잇니라 ≪1510년대 번노 상:32ㄱ
過失이 잇거든 짓디 아니고 위야 애 안자 반상을 對여셔 먹디 아니거든 ≪1588 소언 6:77ㄴ
17세기 : ()
殷 그 雷 南山ㅅ 애 잇거 엇디 이 이에 違 디라 ≪1613 시언 1:20ㄱ
뎡복이 엄의 주검 얻고져 여 석 을 믈을 조차 듀야에 우더니 ≪1617 동신속 효8:11ㄴ≫
18세기 : (, )
ㅅ 변 邊 ≪1781-1787 왜해 상:11ㄴ
子식 야셔 자 기우로 아니며 안 애 아니며 셔  발을 기우로 아니며 ≪1737 어내 2:97ㄴ
져 우믈ᄉ애 드레와 줄이 다 現成여 져긔 잇니라 ≪1763 노신 1:39ㄴ
傍邊 1790 몽해 상:8ㄱ
19세기 : (, 가, 갓)
혹  우희 계시며 혹 바다 에 계시고 오 여긔 계시고 ≪1894 훈아 15b
변 (邊) ≪1895 진리 24ㄱ
邊 ≪1880 한불 119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