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몽마르다발음 듣기]
활용
목말라[몽말라발음 듣기], 목마르니[몽마르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물 따위가 몹시 먹고 싶다.
그는 목마른지 자꾸 자다가 일어나 물을 마셨다.

역사 정보

목다(15세기~19세기)>목르다(18세기)>목마르다(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목마르다’의 옛말인 ‘목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목다’는 ‘목’과 “마르다”의 의미인 ‘다’가 결합한 것이다. ‘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면 ‘ㄹ-’로, 그외의 어미와 결합하면 ‘-’로 나타나났다. 16세기 후반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함에 따라 ‘다’가 ‘르다’로 변화하면서 18세기에는 ‘목르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르다’가 ‘마르다’로 변화되는데, 18세기에 ‘목마르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목말으-’는 ‘목마르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19세기의 ‘목말ㄴ-’은 ‘목마르다’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의 이형태인 ‘목말ㄹ-’에서 어중 ‘ㄹㄹ’ 표기를 ‘ㄹㄴ’으로 표기한 것이다. 19세기의 ‘목마-’는 ‘목마르-’의 제3음절 모음 ‘ㅡ’를 ‘ㆍ’로 표기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목마-, 목ㄹ-, 목르-, 목마르-, 목말으-, 목말ㄴ-, 목마-
세기별 용례
15세기 : (목-, 목ㄹ-)
淸凉 모시 一切 목 사 데 能히 게 호미 며 ≪1447 석상 20:24ㄴ
사미 목라 므를 求야 ≪1459 월석 15:52ㄴ
16세기 : (목-, 목ㄹ-)
우리 두 잔 수를 머거 목  헤왇고 ≪1510년대 번노 상:62ㄴ-63ㄱ
시서 린 믈도 어더 먹디 몯야 주으리며 목라1567 몽육 8ㄱ
17세기 : (목-, 목ㄹ-)
장 목면 이는 열이 속에 드러 극히 셩이니 ≪1653 벽신 6ㄴ
열이 안 싸혀 목라 믈을 너무 만히 먹거 ≪17세기 마경 상:74ㄴ
18세기 : (목-, 목ㄹ-, 목르-, 목마르-, 목말으-)
우리 목  싀야훤케 여러 盞 술을 먹쟈 ≪1790 몽노 4:10ㄱ
목라 면 텰믈 마시며 ≪1762 지장 상:21ㄴ
우리 장 주리고 목를  主人이 이리 차반 주어 먹이믈 엇지 니리오 ≪1790 몽노 3:8ㄴ
다 탕을 주어 목마르믈 풀며 ≪1796 경신 9ㄴ
짐쥬로 목말은 거 긋침 야 ≪1796 경신 6ㄴ
19세기 : (목-, 목마르-, 목말ㄴ-, 목말으-, 목마-)
나의 령혼이 쥬 위야 목고1898 시편 27
다 탕을 쥬어 목마르믈 풀며 ≪1867 남궁 7ㄴ
덥고 목말나 그 물을 먹으니 ≪1852 태상 5:55ㄱ
목말으면 물도 셔 마시니 ≪1894 천로 상:134ㄱ
목마면 을 마실 이오 ≪1865 주년 85ㄴ

관용구·속담(3)

속담목마른 놈이 우물 판다
제일 급하고 일이 필요한 사람이 그 일을 서둘러 하게 되어 있다는 말. <동의 속담> ‘갑갑한 놈이 송사한다’ ‘갑갑한 놈이 우물 판다’ ‘답답한 놈이 송사한다[소지(所志) 쓴다]
속담목마른 사람에게 물소리만 듣고 목을 축이라 한다.
말만 달콤하게 하지 아무런 실속 있는 대책을 세워 주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목마른 송아지 우물 들여다보듯
소금 먹은 소가 목이 말라 깊은 굴우물을 들여다보며 안타까워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골똘하게 궁리하거나 해결 방도를 찾지 못하여 애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소금 먹은 소 굴우물 들여다보듯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