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몽마르다

- 활용
- 목말라[몽말라


- 품사
- 「형용사」
- 「001」물 따위가 몹시 먹고 싶다.
- 그는 목마른지 자꾸 자다가 일어나 물을 마셨다.
역사 정보
목다(15세기~19세기)>목르다(18세기)>목마르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목마르다’의 옛말인 ‘목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목다’는 ‘목’과 “마르다”의 의미인 ‘다’가 결합한 것이다. ‘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하면 ‘ㄹ-’로, 그외의 어미와 결합하면 ‘-’로 나타나났다. 16세기 후반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함에 따라 ‘다’가 ‘르다’로 변화하면서 18세기에는 ‘목르다’로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함에 따라 ‘르다’가 ‘마르다’로 변화되는데, 18세기에 ‘목마르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목말으-’는 ‘목마르다’를 분철 표기 한 것이다. 19세기의 ‘목말ㄴ-’은 ‘목마르다’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의 이형태인 ‘목말ㄹ-’에서 어중 ‘ㄹㄹ’ 표기를 ‘ㄹㄴ’으로 표기한 것이다. 19세기의 ‘목마-’는 ‘목마르-’의 제3음절 모음 ‘ㅡ’를 ‘ㆍ’로 표기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목마-, 목ㄹ-, 목르-, 목마르-, 목말으-, 목말ㄴ-, 목마-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속담목마른 놈이 우물 판다
- 제일 급하고 일이 필요한 사람이 그 일을 서둘러 하게 되어 있다는 말. <동의 속담> ‘갑갑한 놈이 송사한다’ ‘갑갑한 놈이 우물 판다’ ‘답답한 놈이 송사한다[소지(所志) 쓴다]’
- 속담목마른 사람에게 물소리만 듣고 목을 축이라 한다.
- 말만 달콤하게 하지 아무런 실속 있는 대책을 세워 주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목마른 송아지 우물 들여다보듯
- 소금 먹은 소가 목이 말라 깊은 굴우물을 들여다보며 안타까워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골똘하게 궁리하거나 해결 방도를 찾지 못하여 애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소금 먹은 소 굴우물 들여다보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