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오래다

- 활용
- 오래어[오래어](오래[오래]), 오래니[오래니

- 품사
- 「형용사」
- 「001」때의 지나간 동안이 길다.
- 내가 고향을 떠나고 오래지 않아 우리는 다시 만났다.
- 막차가 끊긴 지 오래고, 하는 수 없이 그는 걸어서 집에 갔다.
- 그는 하루하루가 답답해 견딜 수가 없었다. 학교는 문 닫은 지 오래고 집에서는 풀떼기만 먹는 세월이 지겨웠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 계곡에 철쭉이 진 지는 벌써 오래다.≪유주현, 대한 제국≫
- 황해도 방어사 이시언이 이곳에서 너를 기다린 지 오래다.≪박종화, 임진왜란≫
관련 어휘
- 옛말
- 오라다
역사 정보
오라다(15세기~19세기)>오래다(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오래다’의 옛말 ‘오라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부터 ‘오라다’는 ‘오래다’로 나타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오라다’가 주로 ‘오라디 아니-’와 같은 구성에서 많이 쓰여 활용형 ‘오라디’의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것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을 듯하다. 근대 국어 이후에 후행하는 ‘ㅣ’모음에 의해 앞 음절의 모음이 전설 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오라디’ 역시 그러한 현상을 겪어 ‘오래디’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오래디’라는 활용형으로부터 전체 활용형이 영향을 입어 어간이 ‘오래-’로 바뀌게 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17세기부터 나타난 ‘오래다’는 현재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오라다, 오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