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리땁따발음 듣기]
활용
아리따워[아리따워발음 듣기], 아리따우니[아리따우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마음이나 몸가짐 따위가 맵시 있고 곱다.
아리따운 처녀.
아리따운 자태를 드러내다.
영특한 산이 있으면 영걸스러운 사나이를 낳고 맑은 물이 감돌매 아리따운 여자가 태어난다.≪박종화, 전야≫

역사 정보

아답다(15세기~17세기)>아릿답다(16세기~19세기)>아리땁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리땁다’의 옛말인 ‘아답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답다’는 어근 ‘아’과 형용사파생접미사 ‘-답-’이 결합한 것이다. 어근 ‘아’과 비슷하게 ‘美’의 의미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어근 ‘아’의 정확한 의미는 알 수 없다. ‘아답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아다오-’로 나타났는데, 본래 ‘*아-’으로 나타나던 것이 15세기 중엽에 ‘ㅸ’이 ‘ㅣ’를 제외한 다른 모음 앞에서 ‘ㅗ/ㅜ’로 변화하면서 ‘*아-’이 ‘아다오-’로 변화한 것이다. 그러나 15~18세기 문헌에는 자음 앞에 나타나는 ‘아답-’ 혹은 ‘아답-’에서 변화한 ‘아릿답-’으로 나타난 예가 보이지 않는다. 16세기에는 모음 ‘ㆍ’가 ‘ㅣ’로 바뀐 ‘아릿다오-’ 형태가 등장하였다.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는 ‘ㅡ’로 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는 매우 특이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아릿답다’에서 제2음절의 끝소리 ‘ㅅ’의 영향으로 제3음절의 첫소리 ‘ㄱ’이 된소리화하여 현대 국어의 ‘아리땁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아다오-, 아리땁-, 아릿다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다오-)
고지 아다온 雜남기 迎逢고 龍 즐겨 平 모새셔 나더니라 ≪1481 두시-초 6:12ㄱ
아다온 져비 집기슬게 드러 횟도놋다 ≪1481 두시-초 7:34ㄱ
16세기 : (아릿다오-)
아릿다올 교 ≪1576 신합 하:31ㄱ
17세기 : (아다오-)
아다온 져비 집 기슬게 드러 횟도놋다 ≪1632 두시-중 7:34ㄱ
18세기 : (아릿다오-)
온하며 부드러운 안을 리고 아릿다온 얼굴을 지으면 이 輕薄 婦人이 되니라 ≪1737 어내 1:24ㄱ-ㄴ
19세기 : (아릿답-)
아릿답다 美 ≪1880 한불 9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