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부단따발음 듣기]
활용
붙안아[부다나], 붙안으니[부다느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두 팔로 부둥켜안다.
어머니는 오랜만에 만난 아들을 붙안고 질금질금 눈물을 흘렸다.
아내는 다시 시아버지의 바짓가랑이를 붙안으며 매달렸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모두가 쿵쿵거리는 가슴을 붙안고 옹기전에 들어오는 황소 보듯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순사들을 건너다보고 있었다.≪송기숙, 암태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븓안다(15세기~17세기)>붙안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붙안다’의 옛말인 ‘븓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붙다’의 뜻인 ‘븓’과 ‘안다’가 결합한 것이다. ‘븓-’은 모음 어미가 오면 ‘븥-’이 되는데 ‘ㅂ’ 뒤에서 모음 ‘ㅡ’가 ‘ㅜ’로 원순 모음화 됨에 따라 ‘븥’은 ‘붙’으로 바뀐 것으로 예상한다. ‘안다’와 결합된 형태는 17세기 문헌까지만 확인되는데 18세기와 19세기 문헌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 자료상의 문제로 보인다. 16세기에는 ‘브티안다’가 쓰이는 ‘브티-’는 ‘븓-’을 선행 요소로 결합하는 복합어에서 이형태로 종종 쓰인다. 17세기에는 ‘븓안다’ 대신에 ‘안다’가 쓰이고 ‘븓-’의 받침으로 ‘ㄷ’ 대신에 ‘ㅅ’이 쓰이는데 이것은 17세기 받침의 표기법에서 ‘ㄷ’ 받침의 어휘가 ‘ㅅ’ 받침으로 쓰이는 현상에 따른 현상이다.
이형태/이표기 븓안다, 안다, 븟안다, 안다, 붓안다, 브티안다, 붙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븓안다)
륫갓 븓안고 라디엣거늘 ≪1447 석상 3:26ㄱ
16세기 : (븓안다, 브티안다)
왕람믜 어미 쥬시 왕샹일 보차 티거든 왕람미 너덧 설 머근 제 보고 믄득 울우 가 븓안더라1518 이륜-옥 10ㄱ
覽의 나히 두 설에 祥이 맛거든 보고 믄득 울오 브티안더니1518 번소 9:70ㄱ
17세기 : (안다, 븓안다, 븟안다, 안다)
박시 아비 븓안고 원여 몸으로 여지라 니 ≪1617 동신속 효7:57ㄴ≫
 업뎌 가을 안고 숨쉬기 굵고 코 부 이 듕결로 알이오 ≪17세기 마경 상:72ㄴ
두 겨집이 짇기 입 그치디 아니고 서 븟안아 눕고 니디 아니니 도적이 다 주기다 ≪1617 동신속 열8:78ㄴ≫
발 울얼어 하로 향야 가을 안고 가을 믈어 디 이 젼결로 알이오 ≪17세기 마경 상:72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