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바단물

- 품사
- 「명사」
- 「001」바다에 괴어 있는 짠물.
- 바닷물이 뱃전에 출렁인다.
- 바닷물이 빠지는 썰물 때에는 갯벌이 드러난다.
- 바닷물의 소금기 맛이 입술에 묻어났다.≪황순원, 일월≫
- 바닷물은 섬 가장자리의 산 중턱까지 차올라서 하얗게 들끓고 있었다.≪한승원, 해일≫
- 얼마 후에는 하늘이 서서히 파랗게 벗겨지며 시뻘건 엿 덩이 같은 아침 해가 바닷물에서 불끈 솟아올라 녹물처럼 벌건 빛깔을 뿌렸다.≪안정효, 하얀 전쟁≫
- 바닷물을 막아 일군 새 농장은 둘레가 20리도 더 넘는 어마어마한 넓이였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 바닷가에 가 보면 바닷물이 들어갔다 나갔다 합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바믈/바믈(15세기~17세기)>바닷믈(15세기~18세기)>바다믈(19세기)>바닷물(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바닷물’은 ‘바다’와 ‘물’의 합성어이다. ‘바다’는 15세기에 ‘바다ㅎ’와 ‘바ㅎ’의 두 형태로 쓰였고, 16세기에는 ‘바라ㅎ’도 쓰였다. ‘물’은 15세기에 ‘믈’로 쓰였으나 양순음 ‘ㅁ’ 아래의 ‘ㅡ’가 ‘ㅜ’로 되는 원순 모음화 현상으로 인하여 18세기부터는 ‘물’이 광범위하게 쓰였다. ‘바다’는 17세기까지는 ‘바’이 더 많이 쓰였으나 17세기에서부터 ‘바다’가 점점 많이 쓰이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바믈, 바믈, 바닷믈, 바다물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