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바단물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바다에 괴어 있는 짠물.
바닷물이 뱃전에 출렁인다.
바닷물이 빠지는 썰물 때에는 갯벌이 드러난다.
바닷물의 소금기 맛이 입술에 묻어났다.≪황순원, 일월≫
바닷물은 섬 가장자리의 산 중턱까지 차올라서 하얗게 들끓고 있었다.≪한승원, 해일≫
얼마 후에는 하늘이 서서히 파랗게 벗겨지며 시뻘건 엿 덩이 같은 아침 해가 바닷물에서 불끈 솟아올라 녹물처럼 벌건 빛깔을 뿌렸다.≪안정효, 하얀 전쟁≫
바닷물을 막아 일군 새 농장은 둘레가 20리도 더 넘는 어마어마한 넓이였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바닷가에 가 보면 바닷물이 들어갔다 나갔다 합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역사 정보

바믈/바믈(15세기~17세기)>바닷믈(15세기~18세기)>바다믈(19세기)>바닷물(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바닷물’은 ‘바다’와 ‘물’의 합성어이다. ‘바다’는 15세기에 ‘바다ㅎ’와 ‘바ㅎ’의 두 형태로 쓰였고, 16세기에는 ‘바라ㅎ’도 쓰였다. ‘물’은 15세기에 ‘믈’로 쓰였으나 양순음 ‘ㅁ’ 아래의 ‘ㅡ’가 ‘ㅜ’로 되는 원순 모음화 현상으로 인하여 18세기부터는 ‘물’이 광범위하게 쓰였다. ‘바다’는 17세기까지는 ‘바’이 더 많이 쓰였으나 17세기에서부터 ‘바다’가 점점 많이 쓰이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바믈, 바믈, 바닷믈, 바다물
세기별 용례
15세기 : (바믈, 바믈, 바닷믈)
二月ㅅ 여랫 나래 四海 바믈 길유려 거시 ≪1447 석상 3:5ㄴ
엇뎨 시러곰 八方ㅅ 바므를 업텨 님금 爲와 乾坤 시스려뇨 ≪1481 두시-초 6:50ㄴ
四海 바닷므리 여위오 ≪1447 석상 23:26ㄴ
16세기 : (바닷믈)
져근덛 이예 슈미산과 큰 바닷므 사매 녀코 편안히 잇거 ≪16세기 장수 40ㄱ
17세기 : (바믈, 바믈, 바닷믈)
이  사 才思ㅣ 어위크니 바므리 미러 먼 셔믈 맛 도다 ≪1632 두시-중 25:54ㄱ
邊庭에 흐르 피 바믈티 외요 ≪1632 두시-중 4:2ㄱ
海水 바닷믈1690 역해 상:7ㄱ
18세기 : (바닷믈)
바닷믈 고 돌 석거든 항면 항려니와 ≪1774 삼역 7:5ㄴ
19세기 : (바다물)
예수ㅣ 바다 우희셔 부시 말을 듯고 곳 바다물을 혜아리지 아니고 거러 나가다가 ≪1865 주년 64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