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무륻

- 품사
- 「부사」
- 「003」대체로 헤아려 생각하건대.
- 무릇 법도란 지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 무릇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이니 너무 실망하지 마라.
- 무릇 나라는 백성이 있어 있는 것이요….≪유현종, 들불≫
- 부모가 물려주는 거만의 유산은 무릇 불행을 낳기 쉽다.≪김유정, 생의 반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믈읫(15세기~19세기)>므릇(17세기~19세기)>무릇(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무릇’의 옛말인 ‘믈읫’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믈읫’은 15세기에 ‘믈윗’, ‘믈읏’ 등으로도 나타난다. 17세기 이후에는 ‘므릣, 므, 므릇’ 등 연철 표기가 더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ㅁ’ 아래에서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에 의하여 17세기 이후 ‘무릇’으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무릇’은 매우 다양한 이표기를 보였다. 17세기 이후의 ‘믈읟, 므륻, 무륻’ 등은 음절말에서 ‘ㅅ’과 ‘ㄷ’이 구분되지 않게 되면서 나타난 이표기이다. ‘므릣, 므’ ‘므릇, 므’ 등은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바뀌면서 이들이 구분되지 않아 나타난 이표기이다. 이 이외에도 ‘믈잇’, ‘므롯’ 등의 이표기도 존재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믈읫, 믈읟, 믈윗, 믈읏, 믈잇, 므릣, 므, 므릇, 므, 므롯, 므륻, 물읫, 물읏, 무릇, 무, 무륻, 물읫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