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무륻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3」대체로 헤아려 생각하건대.
무릇 법도란 지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무릇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이니 너무 실망하지 마라.
무릇 나라는 백성이 있어 있는 것이요….≪유현종, 들불≫
부모가 물려주는 거만의 유산은 무릇 불행을 낳기 쉽다.≪김유정, 생의 반려≫

관련 어휘

비슷한말
대범(大凡), 대저(大抵), 대컨
지역어(방언)
물굿(경북, 충북)
옛말
믈읫

역사 정보

믈읫(15세기~19세기)>므릇(17세기~19세기)>무릇(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무릇’의 옛말인 ‘믈읫’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믈읫’은 15세기에 ‘믈윗’, ‘믈읏’ 등으로도 나타난다. 17세기 이후에는 ‘므릣, 므, 므릇’ 등 연철 표기가 더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ㅁ’ 아래에서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에 의하여 17세기 이후 ‘무릇’으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무릇’은 매우 다양한 이표기를 보였다. 17세기 이후의 ‘믈읟, 므륻, 무륻’ 등은 음절말에서 ‘ㅅ’과 ‘ㄷ’이 구분되지 않게 되면서 나타난 이표기이다. ‘므릣, 므’ ‘므릇, 므’ 등은 16세기 이후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바뀌면서 이들이 구분되지 않아 나타난 이표기이다. 이 이외에도 ‘믈잇’, ‘므롯’ 등의 이표기도 존재하였다.
이형태/이표기 믈읫, 믈읟, 믈윗, 믈읏, 믈잇, 므릣, 므, 므릇, 므, 므롯, 므륻, 물읫, 물읏, 무릇, 무, 무륻, 물읫
세기별 용례
15세기 : (믈읫, 믈윗, 믈읏)
凡은 믈읫 논 디라 ≪1446 훈언 13ㄱ
이 神呪로 法師 擁護며 나도  이 經 디 사 擁護야 一百由旬 안 믈윗 측 일 업게 호리다 ≪1447 석상 21:27ㄱ
믈읏 얌 믈여든 야미라 니디 아니고 다 벌에와 햇 노히라 닐어 제 일후믈 正히 니디 말라 ≪1446 구방 하:73ㄴ
16세기 : (믈읫)
거 바 후에 影堂 짓고 믈읫 時節 거시어든 의식 몬져 祭고 孝誠이 지극더라 ≪1514 속삼 효:25ㄱ
믈읫 天下 國家 욤이 아홉 經이 인니 ≪1590 중언 27ㄴ
17세기 : (믈읫, 믈읟, 믈윗, 므릣, 므, 므릇, 므, 므롯, 무릇)
왕호괴 오 믈읫 겨집이 두서  월경 아니 야 식 가도 의심며 혈긔 응톄가도 의심거 신방험산 미 맛당니라 ≪1608 언태 9ㄱ
조부모 위야 시묘 삼 년을 고 믈읟 영장과 졔 티 가녜대로 고 ≪1617 동신속 효 1:18ㄴ≫
寺人이언 孟子ㅣ 이 詩를 作노니 믈윗 온갓 君子 敬야 聽홀 띠어다 ≪1613 시언 12:20ㄱ
므릣 수 사홈의 나며 므 호녕은 다 거졍의 홀 이리니 님시야 그며 외다  거시 도라갈 배 이시리라 ≪1612 연병 17ㄴ
므 나모패 만나셔 소티며  셔고 수와  니와 거 세 가짓 군이 즈려 차가 즛딜러 ≪1612 연병 9ㄴ
므릇 禮ㅣ 本이 이시며 文이 이시니 그 집의셔 施 거스로브터 니건댄 名分의 디킐 것과 愛敬 實은 그 本이오 ≪1632 가언 1서:2ㄴ
므 시병 집의 드러갈 제 몬져 문과 지게를훤히 열게 고 큰 솟 믈 두 말을 브어 집 가온대 노코 ≪1653 벽신 15ㄴ
므롯 人子 되연니 효도와 공경을 이 몬져 홀니 그 버금은 友愛야 兄弟 화동홀라 ≪1658 경민-개 28ㄱ
우  라 헌 고 붓티되 무릇 세 번을  즉 효험 나니라 ≪17세기 마경 하:109ㄱ
18세기 : (믈읫, 믈윗, 믈읏, 믈잇, 므릣, 므릇, 므, 므륻, 물읫, 물읏, 무릇, 무, 무륻)
믈읫 婦人의 허믈은 다이 업디라 情慢과 嫉妬과 邪僻홈이니 ≪1737 여사 3:41ㄴ
믈윗 슈 이  쇽 거슬 일졀이 감야 그 응입 거스로 별로 고에 싸하시니 ≪1783 유홍충도윤음 3ㄴ
믈읏 一應大小事務를 다 小官의 便宜處置 듯게 고 ≪1721 오륜전비 8:17ㄱ
믈잇 殺傷 닙은 사을 檢驗홈애 驗所에 니디 못야 몬져 元申人려 무 ≪1792 무원 3:26ㄱ≫
므릣 賓客을 졉홈애도  가히 몸소 整理티 아니티 못려든 ≪1721 오륜전비 4:3ㄱ
므릇 내 거시 곳 이 뎌의 거시니 내 身上에 衣服과 頭面을 가지가지 다 버서 뎌 주리라 ≪1721 오륜전비 6:6ㄱ
글이 대되 네 편의 신튝으로 브터 을의 니히 거의 십년의 듕간 난역 나미 므 여닐곱 번이라 ≪1756 천의 발:1ㄴ
므륻 사의 나미 하과 의 靈 거슬 며 다 덧덧 德을 머구머 ≪1737 어내 서:2ㄴ
사오나온 말을 입에 내디 아니 며 분 말이 몸에 도라오디 아니 니 물읫 희롱이 益홈이 업슨디라 ≪1721 오륜전비 1:13ㄱ
이제 물읏 쳔주매 그 갑 쥰티 아니고 ≪1759 속자성 24ㄴ
大凡 무릇1748 동해 하:49ㄱ
텬토 유죄라 니 무 토죄 즈음에 텬리 티 좃차 죄 잇니 죄 주고 죄 업니 샤되 ≪1756 천의 2:35ㄴ
무륻 범 凡 ≪1781 왜해 상:26ㄴ
19세기 : (믈읫, 므릣, 므릇, 므, 물읫, 무릣, 무릇, 무)
그런고로 믈읫 죄인을 임의 츙군고 류삼쳔 리 와도 삼년  죄를 결쳐 쟈 률문의 한뎡 바 ≪1883 이언 4:47ㄴ
므릣 사의 허물이 잇스 크면 긔 앗고 젹으면 샨을 앗니 ≪1852 태상 대문해:1ㄴ
쟝 획이 더옥 공교야 므릇 외양 물화 우리 화인이 스로 운젼야 오고 즁국 물화 우리 화인이 스로 판단야 길게 도모기 힘고 ≪1883 이언 1:24ㄱ
녜의로 셩을 교화여 므 송  잇스면  앏희 가이 잇그러 달여 오 ≪1852 태상 2:57ㄴ
물읫  하을 밧들며 샹뎨를 셤기 쟤 엇지 단과 오륜 밧게 나미 이시리오 ≪1882 척사윤음 1ㄴ
무릣 관원이 되 맛당이 샹텬의 호지덕과 션왕의 형벌 업시 을 본밧을 거시어 ≪1852 태상 2:35ㄱ
무릇 가난 상의 장 디기 이십칠이요 가난 녀의 혼인여 쥬기 이십팔이며 ≪1852 태상 1:11ㄱ
무  가지 세쇽일을 마련려 거든 맛당이 외교인의 눈을 써 그 션악을 보지 말고 맛당이 봉교인의 눈을 써 그 됴코 구을 보라 니라 ≪1892 성직 104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