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둘ː발음 듣기]
품사
「수사」
「001」하나에 하나를 더한 수.
학생 둘이 함께 걸어간다.
너와 나는 다 키가 크다.
둘씩 짝을 지어 앉아라.
나는 이 가운데 한 사람을 택해야 한다.
“오빠도 너도 다 너무 연애하는 티를 내려는 것 같아.”≪박완서, 도시의 흉년≫
그는 다 가고 남은 술꾼들 틈에 끼어 앉아 장사에 열중이던 주인 여자더러 말했다.≪이문구, 장한몽≫

역사 정보

둟(15세기~19세기)>둘(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둘’의 옛말인 ‘둟’은 15세기부터 문헌에 나타났다. ‘둟/둘’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 ‘-곰’ 등과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 종성 체언’이었다. 그러나 이미 15세기부터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은’, ‘-이’ 앞에서도 끝소리 ㅎ이 탈락한 ‘둘’이 쓰인 예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19세기까지는 ‘둟’ 역시 여전히 나타났다.
한편 15세기 이전의 차자 표기 자료에서 ‘둘’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12세기에 송나라 손목(孫穆)이 편찬한 ≪계림유사≫에는 ‘途孛’, 15세기 초 자료인 ≪조선관역어≫에는 ‘都卜二’로 표기되어 있다. 이러한 차자 표기를 통해 ‘둟’의 15세기 이전 형태를 ‘*두’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15세기 문헌에는 보이지 않지만 16세기 문헌에는 ‘두욿’의 예가 보이는데, 이는 ‘*두’에서 변화한 형태로 추정할 수 있다.
이형태/이표기 둟, 둘, 두욿
세기별 용례
15세기 : (둟, 둘)
二 둘히라1446 훈언 13ㄴ
桂皮  兩 사라 믈 넉 되로 글혀  되 半 取야 둘헤 화 머그라 ≪1466 구방 상:30ㄴ
 츼유리니 우리 둘토  호리라 라 ≪1459 월석 13:20ㄴ
첫 두 段은 둘콰 둘콰 뫼화 어울우미오 버근 두 段은 세 行이 次第오 ≪1465 원각 하2-2:14ㄴ
울워러 온 가짓 새 로 보니 큰 것과 져근 것괘 반기 둘콤 놋다 ≪1481 두시-초 8:68ㄴ
 큰 이 一乘妙法이니 妙法이 아니며 세 아닐 나히라 ≪1447 석상 13:48ㄴ
처믄 이 娑婆애 겨샤 救濟샤 牒시고 둘은 神變 智照ㅅ 功 牒시고 세흔 이 方애 이 시고 十方애도  그러샤 牒시니 ≪1463 법화 7:30ㄴ
前三三 後三三이라 면 이 나 이 둘이 세힌 面目이라 ≪1482 남명 하:44ㄴ
16세기 : (둟, 둘, 두욿)
너희 둘히 리 니러 자븐것 설어저 짐시리 라 ≪1510년대 번노 상:58ㄴ
네 갇모 둘만 가져다가 날 나 빌이고려 ≪1510년대 번박 65ㄴ
유작기와  가 이쳔 션을 뵈더니 이쳔니 눈 고 안젓거 두울히 뫼셔 셧더니 ≪1518 이륜-옥 47ㄱ
17세기 : (둟, 둘)
늘근 나모 속개 치 둘히나 세히나  술의 라 머기고 ≪1608 언두 상:28ㄴ
뎨 가 뎜 어드매 미면 뎌 둘토 오리라 ≪1670 노언 상:60ㄴ
이 帽刷 靴刷 각 나와 刷牙 둘과 귀밋빗기 둘흘 엇디  ≪1677 박통 하:28ㄴ≫
執事者ㅣ 杅 둘로 밥 담고 杅 둘로 肉湆의 不和 者 담고  杅 둘로 肉湆의 로  者 다마 ≪1632 가언 10:34ㄱ
正水ㅅ가마 여과 正煉ㅅ 가마 둘은 각각 열 통 믈이 담기니 ≪1685 염소 9ㄱ
18세기 : (둟, 둘)
老先生아 네 그 나흘 알고 그 둘흘 아디 못다 ≪1721 오륜전비 2:23ㄱ
일로 미뢰여 보니 나토 곳 내 허믈이오 둘토 곳 내 허믈이라 ≪1757 계주윤음 28ㄴ≫
암쇼 둘은 이믜 죽엇다 고 다만 늘근 암쇼 네흘 주되 ≪1758 종덕 하:36ㄴ
그 소위를 구면 나토 후겸의 옴이오 둘도 후겸의 옴이니 ≪1777 명의 권수하 존현각일긔 16ㄴ
19세기 : (둟, 둘)
둘흔 육신이  죽음을 힘이오 ≪1865 주년 26ㄴ
슈일이 지 홀연 황 기 둘이 나오지라 ≪1852 태상 5:45ㄴ

관용구·속담(3)

관용구둘도 없다
오직 하나뿐이고 더 이상은 없다.
  • 천하에 둘도 없는 악당.
  • 너처럼 욕심이 많은 놈은 이 세상에 둘도 없을 거야.
속담둘이 똑같아야 싸움도 하게 된다
양쪽의 힘이나 조건이 똑같아야 싸움이 이루어지지, 양쪽의 힘이나 조건이 너무 차이가 날 때에는 싸움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이르는 말.
속담둘이 먹다 하나(가) 죽어도 모르겠다
음식이 아주 맛있음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셋이 먹다가 둘이 죽어도 모른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