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둘ː

- 품사
- 「수사」
- 「001」하나에 하나를 더한 수.
- 학생 둘이 함께 걸어간다.
- 너와 나는 둘 다 키가 크다.
- 둘씩 짝을 지어 앉아라.
- 나는 이 둘 가운데 한 사람을 택해야 한다.
- “오빠도 너도 둘 다 너무 연애하는 티를 내려는 것 같아.”≪박완서, 도시의 흉년≫
- 그는 다 가고 둘 남은 술꾼들 틈에 끼어 앉아 장사에 열중이던 주인 여자더러 말했다.≪이문구, 장한몽≫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둟(15세기~19세기)>둘(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둘’의 옛말인 ‘둟’은 15세기부터 문헌에 나타났다. ‘둟/둘’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 ‘-곰’ 등과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 종성 체언’이었다. 그러나 이미 15세기부터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은’, ‘-이’ 앞에서도 끝소리 ㅎ이 탈락한 ‘둘’이 쓰인 예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19세기까지는 ‘둟’ 역시 여전히 나타났다. 한편 15세기 이전의 차자 표기 자료에서 ‘둘’과 관련된 기록을 보면, 12세기에 송나라 손목(孫穆)이 편찬한 ≪계림유사≫에는 ‘途孛’, 15세기 초 자료인 ≪조선관역어≫에는 ‘都卜二’로 표기되어 있다. 이러한 차자 표기를 통해 ‘둟’의 15세기 이전 형태를 ‘*두’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15세기 문헌에는 보이지 않지만 16세기 문헌에는 ‘두욿’의 예가 보이는데, 이는 ‘*두’에서 변화한 형태로 추정할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둟, 둘, 두욿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관용구둘도 없다
- 오직 하나뿐이고 더 이상은 없다.
- 천하에 둘도 없는 악당.
- 너처럼 욕심이 많은 놈은 이 세상에 둘도 없을 거야.
- 속담둘이 똑같아야 싸움도 하게 된다
- 양쪽의 힘이나 조건이 똑같아야 싸움이 이루어지지, 양쪽의 힘이나 조건이 너무 차이가 날 때에는 싸움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속담둘이 먹다 하나(가) 죽어도 모르겠다
- 음식이 아주 맛있음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셋이 먹다가 둘이 죽어도 모른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