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갇추]
품사
「부사」
「001」고루 있는 대로.
갖추 장만하다.
학용품을 갖추 준비하다.

관련 어휘

옛말
초

역사 정보

초(15세기~19세기)>가초(18세기~19세기)>갖추(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갖추’의 옛말인 ‘초’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초’는 “갖추어져 있다, 구비하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 ‘-’에 사동접미사 ‘-호-’가 결합한 동사 ‘초다’의 어간에서 파생된 부사이다. 16세기 이후로는 ‘초’와 함께 이를 중철 표기한 ‘초, 초’의 예도 나타난다. 근대국어 시기에 제1음절에서 모음 ‘ㆍ’가 ‘ㅏ’로 바뀌면서 18세기 이후로 ‘가초’ 형태가 등장하였고, 이를 중철 표기한 ‘갓초’의 예도 나타났다. 현대 국어의 ‘갖추’는 중철 표기된 ‘갓초’ 형태로부터 제2음절의 양성모음 ‘ㅗ’가 음성모음 ‘ㅜ’로 바뀐 ‘*갓추’를 원형을 밝혀 적는 원칙에 따라 표기한 것인데, 그 결과 본래 ‘-+-호-’의 구성인 것이 ‘갖-+-추-’의 구성으로 재분석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초, 초, 초, 쵸, 가초, 갓초, 갓쵸
세기별 용례
15세기 : (초)
正遍知 正히 초 아실 씨라 ≪1447 석상 9:3ㄱ
詮은 초 니를 씨라 ≪1459 월석 1서:21ㄴ
16세기 : (초, 초)
의 됴 저기며  됴 저고로 네거긔 슬 거 다 스이노니 뎨 초 이셔  그 덕을 일워 면 ≪1518 번소 4:23ㄱ
손을 티 아니 저기어든 과 고기와 두 가짓 거슬 초 아니고 나죄 븨 무와 박만 야 먹더라 ≪1518 번소 10:28ㄴ
菩薩 大願 梵網經 心地法門品에 다 초 나토시니라 ≪1569 선가 53ㄴ
아나죄 祭宴을 각별 그르세 조히며 朔望이어든 時節 차바 초 쟝고 時節 옷조쳐 지 祭고 ≪1514 속삼 열:21ㄱ
17세기 : (초, 초)
삭망이어든 시졀 차바 초 쟝만고 시졀 오 조차 지어 졔고 ≪1617 동속 열:13ㄴ≫
아 블러 와 대초와 초 이받다 ≪1632 두시-중 22:3ㄴ
귀 보던 바 초 펴니 왕이 자의 니러 셰서 닐오 ≪1637 권념 6ㄴ
18세기 : (초, 초, 초, 가초)
創業고 中興 님금은 몸이 스스로 勤苦야 초 艱難을 디낸 故로 그 다림이 쉽고 ≪1745 어상 5ㄴ
자네 口上道理 초 註進여시니 쉽사리 返事ㅣ 올 거시니 그리 아소 ≪1748 첩신-개 5:9ㄱ
그 사이 실상을 초 고야 오 ≪1758 종덕 상:21ㄱ
노복 졉믈 관셔이 지니 엇지 가초 망며 니 구리오 ≪1796 경신 9ㄱ
19세기 : (초, 초, 쵸, 가초, 갓초, 갓쵸)
영복을 누리 모든 이  류ㅣ 초 셩경에 실닌 고로 복된 쇼식이라 닐니라 ≪1892 성직 4ㄱ
초 긔록여 례로 상고니 ≪1852 태상 2:49ㄱ
대강 셰 가지 단이 이시니 쳥컨 쵸 베프러 갈여 기 뢰노라 ≪1883 이언 3:06ㄴ
쳡의 두 발과 이목구비와 오장 뉵부 가초 버혀 가로 만들고 ≪1852 태상 5:62ㄴ
노복 졉믈 너그러이 지니 엇지 갓초 망며 달니 구리오 ≪1876 남궁 7ㄴ
일만 셩인이 진의 죠회샤 갓쵸 알외여 의논샤 너른 하아 다 반포게 니라 ≪1883 명성 9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