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감투

- 품사
- 「명사」
- 「003」‘탕건’을 속되게 이르는 말.
- 그는 손가락으로 갓양태를 두어 번 튀겨서 먼지를 떨더니만, 그것을 감투 위로 가만히 눌러쓴다.≪이기영, 봄≫
- 박 참봉이 감투 바람으로 휑하게 대문을 나가는 걸 바라보고 속으로 혼자, 무슨 일이 생겼나 보다, 하고….≪김남천, 대하≫
역사 정보
감토(16세기~19세기)>감투(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감투’의 옛말인 ‘감토’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9세기에 ‘감토’의 제2음절 모음 ‘ㅗ’가 ‘ㅜ’로 변하여 ‘감투’가 되었다. 19세기에 ‘감토’와 ‘감투’가 공존하다가 ‘감투’가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른 것이다. ‘감투’는 만주어 kamtu(帽)의 차용어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지만, ≪번역박통사≫ 등에 ‘감토’가 나타나는 것을 보면, ‘감토’는 중국어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감토, 감투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4)
- 관용구감투를 벗다
- 벼슬자리를 그만둠을 속되게 이르는 말.
- 그는 감투를 벗고 고향에 내려가서 조용히 지내고 있다.
- 관용구감투(를) 쓰다
- 벼슬자리나 높은 지위에 오름을 속되게 이르는 말.
- 그는 감투를 쓰더니 권력을 마음대로 휘둘렀다.
- 그는 과거에 급제하여 감투를 쓰게 되었다.
- 관용구감투를 씌우다
- 벼슬자리나 높은 지위에 오르게 만듦을 속되게 이르는 말.
- 친구들은 그에게 동문회 회장이라는 감투를 씌웠다.
- 속담감투가 커도 귀가 짐작이라
- 귀를 가늠하여 감투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는 뜻으로, 어떤 사물의 내용을 어느 정도 자신 있게 짐작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