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빠르다

- 활용
- 빨라[빨라


- 품사
- 「형용사」
- 「001」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
- 걸음이 빠르다.
- 말이 빠르다.
- 발놀림이 빠르다.
- 그는 행동이 빠르고 민첩하다.
- 물살이 빨라 그를 구하기 어렵겠다.
- 그는 자신감이 넘치는 목소리로 빠르게 말했다.≪김원일, 불의 제전≫
- 빠른 속도로 강을 거슬러 오르던 모터보트가 문득 그녀를 발견했는지 방향을 돌려 그녀 쪽으로 다가왔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손에 전기 장치가 되어 있듯 칼질은 빨랐다.≪김동리, 흥남 철수≫
- 추 서방은 굉장히 빠르게 국밥 한 그릇을 비우고 물러나 앉는다.≪박경리, 토지≫
- 지게꾼은 빠르게 걷고 여란이는 일부러 느릿느릿 걸었다.≪박완서, 미망≫
- 투명한 달빛 아래로 다람쥐처럼 빠르게 굴 쪽으로 접근해 가는 두 사람의 모습이 보였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르다(18세기~19세기)>르다(19세기)>빠르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빠르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ㄹ-’로 이형태 교체를 보이는 ‘/르’ 불규칙용언이었다. 16세기 이래로 제2음절 이하의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하였는데, ‘다’의 경우는 ‘르다’로 바뀐 형태가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모음 ‘ㆍ’가 ‘ㅏ’로 바뀌면서 19세기에는 ‘르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현대 국어에서는 ‘ㅂ’의 된소리를 ‘ㅃ’으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빠르다’로 표기하게 되었다. 한편 16~18세기에는 ‘다’, ‘으다’와 같은 과잉 분철 표기도 나타나며, ‘르다, 르다’의 예도 보인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다, 르다, 으다, 르다, 다, 르다, 다, 르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빠른 말이 뛰면 굼뜬 소도 간다
- 일 잘하는 사람이 있으면 굼뜬 사람도 자연히 그를 따라가기 마련이라는 말.
- 속담빠른 바람에 굳센 풀을 안다
- 드센 바람 속에 꿋꿋이 서 있는 굳센 풀을 알아낼 수 있다는 뜻으로, 마음의 굳은 의지와 절개는 시련을 겪고 나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