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얼마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의문문에 쓰여)) 잘 모르는 수량이나 정도.
이 구두의 값이 얼마요?
시청까지 얼마를 더 가야 합니까?
쌀이 얼마나 남아 있습니까?
당신은 이 사건에 대해 얼마만큼 알고 있습니까?

역사 정보

언마(15세기~19세기)>얼마(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얼마’의 옛말인 ‘언마’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언마’는 관형사 ‘어느’와 “만큼”을 의미하는 명사 ‘마’가 결합한 합성어로, 결합 과정에서 단어 경계에 있는 모음 ‘ㅡ’가 탈락한 것이다. ‘어느+마’가 ‘언마’로 합성어가 된 후에 단어 내부의 모음조화를 위해 ‘마’가 ‘머’로 바뀐 ‘언머’ 형태도 15세기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시기에 ‘언마/언머’에서 제1음절의 종성 ‘ㄴ’이 ‘ㄹ’로 바뀌어 ‘얼마/얼머’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현대 국어와 같은 ‘얼마’의 예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그러나 ‘얼머’가 17세기 문헌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얼마’ 역시 문헌에는 보이지 않지만 17세기부터 나타났을 가능성이 크다.
이형태/이표기 언마, 얼마, 언머, 얼머
세기별 용례
15세기 : (언마, 언머)
三時殿 미고 婇女ㅣ 조더니 深谷深山애 언마 저프거시뇨 ≪1447 월곡 44ㄴ
님금이 무르샤 갑시 언마고 커시 ≪1459 월석 20:55ㄴ
아홉 예  번 서르 마조 보니 百年은 能히 언마 만니오 ≪1481 두시-초 22:47ㄱ
사 사라쇼 언머 만니오 ≪1481 두시-초 10:9ㄱ
16세기 : (언마, 언머)
幾 긔미 긔 언마 긔 ≪1576 신합 하:58ㄱ
쳔을 언매나 보낼고 ≪1510년대 번박 상:45ㄱ
이 가믄 뵈예 됴니 갑시 언메며 사오나오니 갑슬 언머예 다 ≪1510년대 번노 하:59ㄴ
17세기 : (언마, 언머, 얼머)
多大少 언마나 크뇨 爭甚麽 언마나 뇨 ≪1690 역해 하:52ㄴ
네 환 디 언머 오라뇨 내 환 디 반  남즉다 ≪1670 노언 상:5ㄴ
一百 낫 돈에 너를 얼머나 주어야 올고 ≪1670 노언 상:48ㄴ
18세기 : (언마, 언머)
네 환 지 언마나 뇨 내 환 지 반  남으롸 ≪1790 몽노 1:8ㄱ
百年歲月이 能히 언머나 고 ≪1721 오륜전비 4:31ㄴ
幾箇 언머1748 동해 하:49ㄴ
19세기 : (언마, 얼마)
챡 거슬 각을 일의혀다가 언마 못 되야 곳 며 ≪1880 삼성 23ㄱ
얼마 幾何 얼마큼 ≪1880 한불 23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