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압발음 듣기]
활용
앞이[아피발음 듣기], 앞만[암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향하고 있는 쪽이나 곳.
책상 앞으로 나가다.
우리는 학교 네거리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
양말을 벗어 욕실 플라스틱 빨래 바구니에 던져 넣으며 내가 어물어물 말했다.≪안정효, 하얀 전쟁≫
숨이 차는지 다리가 휘청거리는지도 모르고 우리는 앞만 바라보며 죽을힘을 다해서 인왕산을 바라고 뛰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차는 한국은행 로터리를 돌고 있었다.≪이범선, 오발탄≫
전봉준은 아버지 앞에 가볍게 고개를 숙였다.≪송기숙, 녹두 장군≫
주막 앞을 지나던 설월 스님이 까치 이모를 일으켜 앉히고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문순태, 피아골≫
그러나 그 여인은 내 말을 듣고 나자, 두말없이 앞자리에 올라타더니 무슨 화난 사람처럼 생뚱하니 앞만 내다보고 있었다.≪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관련 어휘

반대말
지역어(방언)
(전남), (전북, 충남)
옛말

역사 정보

앒(15세기~19세기)>앞(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앞’의 옛말인 ‘앒’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앒’은 단독으로 쓰이거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앏’으로 나타난다. 16세기에는 종성의 ‘ㄹㅍ’ 중 ‘ㄹ’이 탈락한 ‘앞’ 형태가 등장하였다. 이와 같이 ‘ㅍ’ 앞에서 ‘ㄹ’이 탈락한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국어사에서 이와 같은 현상을 보이는 예가 몇몇 확인된다. 예를 들면, ‘알다’가 ‘아다’로 변한 것이나 ‘골다’가 ‘고다’로 변한 것이 모두 이러한 예이다. 그러나 기존의 ‘앒’ 형태 역시 ‘앞’과 함께 19세기까지 공존하다가 ‘앞’이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19세기 문헌에 나타나는 ‘앏ㅍ’, ‘압ㅍ’은 각각 ‘앒, 앞’의 종성 ‘ㅍ’을 8종성법에 따라 종성에는 ‘ㅂ’을, 다음 음절의 초성에는 ‘ㅍ’으로 표기한 일종의 중철 표기이다. 이와 함께 ‘앏ㅎ’, ‘압ㅎ’과 같은 표기도 나타나는데 이는 ‘ㅍ’을 ‘ㅂ’과 ‘ㅎ’으로 나누어 적은 재음소화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앒, 앏ㅍ, 앏ㅎ, 앏, 압ㅍ, 압ㅎ, 앞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앒, 앏)
뒤헤는 모딘 도 알 어드 길헤 업던 번게를 하히 기시니 ≪1447 용가 30
너희 이셔 이대 도라가라 나 알로 나가 摩尼寶珠를 어두리라 ≪1459 월석 22:39ㄱ
누 보 뒤히 어듭고 알피 니 方 젼혀 고 뒷 方 젼혀 어듭고 ≪1461 능엄 4:96ㄴ
누는 앏과 겯과 보고 뒤흘 몯 보며 ≪1447 석상 19:10ㄱ
16세기 : (앒, 앏ㅍ, 앏ㅎ, 앏, 앞)
거 니븐 사 맛나셔 술윗 알 디 남 비겨 구브시며 ≪1518 번소 4:18ㄱ
나죄 다듣거든 스님 앏픠셔 사 혀 글 외오기 야 ≪1510년대 번노 상:3ㄴ
술위 앏  남글 고마온 일 잇거든 굽어 딥픔이라 ≪1588 소언 3:16ㄱ
젼 ≪1527 훈몽 하:15ㄱ
왼녁 겯로 잡고 올녁 겯로 들며 아프로 옷기슬 긔고 뒤후로 옷기글 잇그러 ≪1588 소언 5:70ㄴ
17세기 : (앒, 앏ㅍ, 앏ㅎ, 앏, 앞, 압ㅎ)
녀묘 밤의  비 이시면 반시 무덤 알 가 울고  아젹을 기드리더라 ≪1617 동신속 효4:28ㄴ≫
글읇기 고 스승 앏픠셔 글을 강노라 ≪1670 노언 상:3ㄱ
노래 브니를 블러 앏 와 뎔로 여 브게 라 ≪1677 박언 상:6ㄴ
前廳 廳 後廳 뒷 廳 ≪1690 역해 상:9ㄴ
녹졀골혈은 녹졀골 우 힘줄 앏과  뒤 이시니 ≪17세기 마경 상:68ㄱ
도적이 노흐로 손을 여 아프로 잇고 뒤흐로 모니 ≪1617 동신속 열4:64ㄴ≫
당 압희 흰 대쵸남기 다 기 나거 ≪1617 동신속 열1:70ㄴ≫
18세기 : (앒, 앏ㅎ, 앏, 압ㅎ)
曲禮예 오 님금 알셔 실과 주어시든 그  잇 거스란 그  품을 니라 ≪1737 어내 1:8ㄴ
우리 앏프로 行야 十里   瓦子店이 이시니 ≪1790 몽노 1:13ㄱ
詩 닑은 후에 스승 앏희셔 글을 講노라 ≪1763 노신 1:3ㄴ
젼 前 뒤 후 後 ≪1781 왜해 상:11ㄱ
밋 셩명이 이믜 리신 즉 좌 건너가 압흐로 막아  뒤희 사을 듯지 못게 고 ≪1777 명의 2:44ㄴ
19세기 : (앒, 앏ㅎ, 앏, 압ㅍ, 압ㅎ, 압)
죠군 알 분향고 ≪1881 조군 14ㄱ
오직 앏흐로만 갈 쥴 알고 뒤흐로 믈너갈니 만무면 ≪1883 이언 3:59ㄱ
슐위의 업지미 뒷 슐위의 경계되니 ≪1883 이언 발:5ㄴ
한 사이 압페 나아 와 어 갈오되 ≪1887 성전
텬쥬의 일에 니러 도모지 이 몽몽야 압흐로 나아가기 겁도다 ≪1865 주년 103ㄱ
前 ≪1895 국한 205

관용구·속담(10)

관용구앞 방석을 차지하다
비서의 역할을 하다.
관용구앞에 내세우다
다른 것보다 더 두드러지게 드러내 놓거나 중요시하다.
  • 이번 광고에서는 무엇보다도 친절을 앞에 내세웁니다.
관용구앞을 닦다
자기 할 일을 잘하고 행동을 바르게 하다.
  • 식견이라면 몰라도 완력으로 어른다면 길소개도 제 앞을 닦는 사람이었다. ≪김주영, 객주≫
관용구앞(을) 못 보다
눈이 멀어서 보지 못하다.
  • 앞 못 보는 심 봉사.
관용구앞이 벌다
담당하거나 감당하기가 힘에 겹다.
속담앞 남산 호랑이가 뭘 먹고 사나
호랑이에게라도 잡혀 먹혔으면 좋겠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못된 사람을 보고 미워서 죽어 없어지라는 말.
속담앞 못 보는 놈 뺨 치고 뒤보는 놈 골 친다
눈이 멀어 앞을 못 보는 사람은 앞에서 뺨을 치고 뒤보느라고 쭈그리고 앉은 사람은 뒷골을 친다는 뜻으로, 대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어진 조건에 맞게 처리하거나 행동하여야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앞 못 보는 생쥐
정신이 몽롱하여 무엇을 잘 보지 못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앞에서 꼬리 치는 개가 후에 발뒤꿈치 문다
앞에 와서 좋은 말만 하고 살살 비위를 맞추기에 급급한 사람일수록 보이지 않는 데서는 험담을 하고 모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앞으로 보나 뒤로 보나 정방산
앞으로 보나 뒤로 보나 정방산은 정방산이지 다르게 될 수 없다는 뜻으로, 아무리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해도 결국은 같은 대상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