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뒤ː

- 품사
- 「명사」
- 「001」향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되는 쪽이나 곳.
- 내 뒤에 앉아 있는 사람.
- 뒤로 물러서다.
- 집 뒤에는 산이 있다.
- 등 뒤에서 이상한 소리가 난다.
- 이전에 경호가 옥희를 만나게 하여 주었을 때, 정거장 뒤 냇가 언덕에서 잠깐 동안일망정 자기의 심정을 토파하는 때의 광경이 암암하게 그리어진다.≪이기영, 고향≫
- 이제 눈은 마을 뒤 높은 산꼭대기에나 조금 남아 있을 뿐이어서 그것이 햇빛을 받아 번들거렸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 단원들은 천막 뒤 대기소에 둘러서서 밤참들을 먹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 언덕을 구르듯이 달려 내려오는 사람이 있었다. 치마를 펄럭이는 여자는 뒤를 연신 돌아보았다.≪한수산, 유민≫
- 그것들은 숲과 고목들을 까뭉개며 등 뒤로 진흙덩이를 공 던지듯 휙휙 내던졌다. 흰 꼬리를 뒤로 기다랗게 드리운 채 수십 개의 신호탄들이 가로세로 하늘을 마구 날았다.≪홍성원, 육이오≫
- 그의 뒤를 따라온 건 이제는 가고 없는 사공 달평의 아들 용재였다.≪한수산, 유민≫
관련 어휘
- 반대말
- 앞
- 지역어(방언)
- 두(강원, 함북), 두이(강원, 경남, 함경, 중국 길림성), 디(강원, 경상, 전남, 충청,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뒈(경기), 뒷(전라), 듸(평북)
- 옛말
- 뒿
역사 정보
뒿(15세기~19세기)>뒤(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뒤’의 옛말인 ‘뒿’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뒿’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으로서 ‘뒿/뒤’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7세기부터는 기존에 ‘뒿’가 쓰이던 환경에서도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뒤’가 쓰인 예가 나타났다. 19세기까지는 ‘뒿’의 예 역시 여전히 문헌에 나타나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뒿, 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5)
- 관용구뒤를 묻어가다
- 뒤를 이어 따라가다.
- 두 번 세 번 작별의 인사를 거듭하였건만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정에 끌리여 13도구 거리의 인민들도 그냥 유격대원들의 뒤를 묻어간다. ≪고난의 행군, 선대≫
- 관용구뒤를 물다
- 뒤가 계속 이어지다.
- 뒤를 물고 찾아오는 손님들.
- 관용구뒤를 조이다
- 상대가 다 털어놓도록 연방 들이대다.
- 검사는 무섭게 뒤를 조이며 반말질을 했다. ≪415 문학창작단, 은하수≫
- 속담뒤로 오는 호랑이는 속여도 앞으로 오는 팔자는 못 속인다
- 이미 정하여진 팔자는 모면을 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