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뒤ː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향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되는 쪽이나 곳.
뒤에 앉아 있는 사람.
뒤로 물러서다.
뒤에는 산이 있다.
뒤에서 이상한 소리가 난다.
이전에 경호가 옥희를 만나게 하여 주었을 때, 정거장 냇가 언덕에서 잠깐 동안일망정 자기의 심정을 토파하는 때의 광경이 암암하게 그리어진다.≪이기영, 고향≫
이제 눈은 마을 높은 산꼭대기에나 조금 남아 있을 뿐이어서 그것이 햇빛을 받아 번들거렸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단원들은 천막 대기소에 둘러서서 밤참들을 먹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언덕을 구르듯이 달려 내려오는 사람이 있었다. 치마를 펄럭이는 여자는 뒤를 연신 돌아보았다.≪한수산, 유민≫
그것들은 숲과 고목들을 까뭉개며 등 뒤로 진흙덩이를 공 던지듯 휙휙 내던졌다. 흰 꼬리를 뒤로 기다랗게 드리운 채 수십 개의 신호탄들이 가로세로 하늘을 마구 날았다.≪홍성원, 육이오≫
그의 뒤를 따라온 건 이제는 가고 없는 사공 달평의 아들 용재였다.≪한수산, 유민≫

역사 정보

뒿(15세기~19세기)>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뒤’의 옛말인 ‘뒿’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뒿’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조사 ‘-과, -도’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종성체언’으로서 ‘뒿/뒤’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7세기부터는 기존에 ‘뒿’가 쓰이던 환경에서도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뒤’가 쓰인 예가 나타났다. 19세기까지는 ‘뒿’의 예 역시 여전히 문헌에 나타나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뒿, 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뒿, 뒤)
뒤헤는 모딘  알 기픈 모새 열 어르믈 하히 구티시니 ≪1447 용가 30
白鹽 노 묏 뒤콰 赤甲 녯 城ㅅ 東녀긔 平 해  내 安穩니 ≪1481 두시-초 7:16ㄱ
王이 臣下 리시고 東山애 드러 노시며 ≪1459 석상 11:31
업스며 앏 업스니 ≪1496 육조 하:28ㄴ
16세기 : (뒿, 뒤)
바 무덤 뒤헤 울에  소 잇거늘 ≪1514 속삼 효:11ㄱ
양 집 댓수헤 가 대 안고저 우더니 ≪1514 속삼 열:12ㄱ
후 ≪1527 훈몽 하:15ㄱ
17세기 : (뒿, 뒤)
앏프로 가며 뒤흐로 가며 ≪1612 연병 18ㄱ
비유혈은 뒤로 조차 뎨 셋재 가리 안 이시니 ≪17세기 마경 상:64ㄱ
18세기 : (뒿, 뒤)
앏 군 막아 잇고 뒤 오 군 이시니 갈 길 업스니 ≪1703 삼역 10:26ㄱ
혹 길에 므드며 혹 집 뒤에 므드니 져주 시 뎍실고 ≪1778 속명의 1:28ㄱ
19세기 : (뒿, 뒤)
이제  사이 내 뒤희 나 계시나 실노 나에셔 몬져 계신지라 ≪1865 주년 59ㄱ
네게 착 두 아을 밧고아 쥬어 네 뒤 빗나게 시니 망녕된 원망을 지 말나 ≪1852 태상 3:47ㄴ

관용구·속담(5)

관용구뒤로 빠지다
직임이나 사회 활동에서 은퇴하다. <동의 관용구> ‘뒤로 물러나다
  • 그는 30년간 해 오던 일에서 손을 놓고 뒤로 빠졌다.
관용구뒤를 묻어가다
뒤를 이어 따라가다.
  • 두 번 세 번 작별의 인사를 거듭하였건만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는 정에 끌리여 13도구 거리의 인민들도 그냥 유격대원들의 뒤를 묻어간다. ≪고난의 행군, 선대≫
관용구뒤를 물다
뒤가 계속 이어지다.
  • 뒤를 물고 찾아오는 손님들.
관용구뒤를 조이다
상대가 다 털어놓도록 연방 들이대다.
  • 검사는 무섭게 뒤를 조이며 반말질을 했다. ≪415 문학창작단, 은하수≫
속담뒤로 오는 호랑이는 속여도 앞으로 오는 팔자는 못 속인다
이미 정하여진 팔자는 모면을 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