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시새우다]
- 활용
- 시새우어[시새우어](시새워[시새워]), 시새우니[시새우니]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자기보다 잘되거나 나은 사람을 공연히 미워하고 싫어하다.
- 남이 잘되는 것을 시새우다.
- 친구의 공을 시새우기 시작하면 사이가 좋아지기 힘들다.
역사 정보
싀새오다(17세기~19세기)>시새우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시새우다’의 옛말인 ‘싀새오다’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싀새오다’는 “시기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싀’와 “질투하다”라는 의미의 ‘새오-’가 결합된 것이다. 20세기 들어 ‘싀새오다’는 제1음절의 ‘싀’가 단모음화되고, 제3음절의 ‘오’가 ‘우’로 교체되어 ‘시새우다’로 나타나게 된다. 한편 18세기의 ‘싀다’는 ‘ㆍ’의 소실로 인해 이중모음이었던 ‘ㅐ’[ay]가 단모음 ‘ㅐ’[ɛ]로 변화함에 따라 ‘ㆎ’와 ‘ㅐ’의 표기가 혼란스러웠던 것을 보여주는 것인데 20세기에 ‘시새다’로 나타난다. 즉 20세기에는 ‘싀새오다’에서 이어진 ‘시새우다’와 ‘싀다’에서 이어진 ‘시새다’가 공존하게 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싀새오다, 싀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