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바라보다발음 듣기]
활용
바라보아[바라보아발음 듣기](바라봐[바라봐]), 바라보니[바라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어떤 대상을 바로 향하여 보다.
정면을 바라보다.
불러도 돌아보지 말고 앞만 바라보고 뛰어라.
왜 하늘만 멍하니 바라보고 있니?
나를 바라보는 어머니의 시선이 심상치 않다.
삼촌의 냉랭한 말을 들으며 아버지는 한동안 삼촌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다.≪김원일, 노을≫
몇몇의 사람들 가운데 즐겁게 웃고 떠드는 사람은 하나도 눈에 띄지 않았다. 묵묵히 서서 바다를 하염없이 바라보거나 골똘히 생각에 잠긴 모습들이었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노인은 먼 지평선을 한동안 바라보다가 다시 입을 열었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라보다(15세기~19세기)>바라보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바라보다’는 ‘바라다’와 ‘보다’의 합성 동사로 옛말은 ‘라보다’이다. 이 단어는 15세기에서 19세기까지 꾸준히 쓰이다가 ‘ㆍ’의 음가 소멸로 첫음절에서 ‘ㅏ’로 바뀐 ‘바라다’의 형태로 변화하여 ‘바라보다’가 등장하여 현재에 쓰이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라보다, 아보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라보다)
세 사 上中下ㅣ 다나 藏敎 라보건댄  가지로 利니라 ≪1459 월석 14:69ㄴ
그러나 三藏佛로 六根 淸淨位 라보건댄 홈 이시며 사오나옴 잇니 ≪1464 영가 下:69ㄴ
16세기 : (라보다)
구읫 문을 라보고 걷거 主簿ㅣ 낫라 닐오 ≪1518 번소 10:4ㄱ
17세기 : (라보다, 아보다)
그 아 거진이 라보고 라들고져 거 ≪1617 동삼 충:2ㄴ≫
가이 널러 아보면 두 올히 고 다리 이 너고 ≪17세기 마경 상:6ㄱ
18세기 : (라보다)
멀리 家鄕을 라보니 어 곳인고 存亡 두 실로 슬프도다 ≪1737 여사 4:27ㄱ
19세기 : (라보다)
멀니 라보니  사이 울고 오거 귀신인가 의심여 ≪1852 태상 4:54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