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디디다발음 듣기]
활용
디디어[디디어발음 듣기/디디여발음 듣기](디뎌[디뎌]), 디디니[디디니]
품사/문형
「동사」 【…을】【…에 …을】
「001」발을 올려놓고 서거나 발로 내리누르다.
가볍게 계단을 디뎌도 삐걱거리는 소리가 났다.
풀이 무성한 곳을 디딜 때에는 발이 구덩이에 빠질 것 같아 긴장되었다.
그녀는 슬며시 발판에 발을 디뎠다.
아이는 한쪽 발만 땅에 디디고 서 있었다.

관련 어휘

준말
딛다
지역어(방언)
디드다(전남), 드디다(제주, 함북)
옛말
드듸다

역사 정보

드듸다(15세기~19세기)>디디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디디다’의 옛말인 ‘드듸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드듸다’는 제2음절 모음 ‘ㅢ’가 ‘ㅣ’로 변화하고, 제1음절 모음 ‘ㅡ’가 ‘ㅣ’로 변화하여 20세기 이후 ‘디디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드다’는 ‘드듸다’의 제2음절 모음 ‘ㅢ’가 ‘ㆎ’로 나타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드듸다, 드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드듸다)
蓮花ㅅ 고지 나거늘 世尊이 드듸샤 四方 向샤 周行七步시니 ≪1447 월곡 8ㄱ
드 저긔 金剛摩尼花ㅣ 一切예 기 이니 ≪1459 월석 8:36ㄴ
16세기 : (드듸다, 드다)
다시 댓그테 어윈 거르믈 나 드듸여 大丈夫의 이 리라 ≪1517 몽산-고 16ㄱ
손이 조차 층을 드여 발 모도와 거름을 니어  올오 ≪1588 소언 2:69ㄱ
17세기 : (드듸다, 드다)
踏勘 드듸여 마초와 보다 ≪1690 역해 상:12ㄱ
발로 가맛 을 드고 나오고져 다가 ≪1677 박언 하:22ㄴ
18세기 : (드듸다, 드다)
文王이 빗체 근심샤 거르실 제 能히 바 드듸디 못더시니 ≪1737 어내 1:32ㄴ
길 혹 개얌이 드여도 긔운 혀 긔 양을 본 후의야 이 눅으니 ≪1762 어경 6ㄱ
19세기 : (드듸다, 드다)
몬져 말직을 졔슈야 계뎨를 드여 승쳔게 며 ≪1883 이언 2:45ㄴ
요 길을 드듸지 말며 ≪1852 태상 대문해:2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