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익쑤카다발음 듣기]
활용
익숙하여[익쑤카여](익숙해[익쑤캐]), 익숙하니[익쑤카니]
품사/문형
「형용사」 【…에/에게】
「002」어떤 대상을 자주 보거나 겪어서 처음 대하지 않는 느낌이 드는 상태에 있다.
직장 생활에 익숙하다.
이사 온 지 며칠 안 돼 그 지역 지리에 익숙하지 않다.
우리에게 익숙하던 감상적이고 천박한 일본 군가 쪼가리들과 비교하며….≪이호철, 남에서 온 사람들≫
녀석이 우리는 벌써부터 익숙한 사이며 방금도 재미있는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중이었다는 듯 팔기를 보고 웃었다.≪이청준, 조율사≫
아무리 캄캄한 어둠이라도 그 어둠에 익숙하면 근거리에 있는 물체를 식별할 수 있게 되어있다.≪이병주, 지리산≫

역사 정보

닉숙다(15세기~17세기)>익숙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익숙하다’의 옛말인 ‘닉숙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9세기에 어두음절에서 ‘ㅣ’ 모음 앞에 ‘ㄴ’이 탈락하는 현상에 따라 제1음절이 ‘닉>익’으로 바뀌고, 어근 ‘익숙-’에 ‘-하-’가 결합하여 현대 국어의 ‘익숙하다’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닉숙다, 닉식다, 니익숙하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닉숙다)
니건 예 믌결 시 기튼 盜賊을  저긔 驊騮馬ㅣ 닉숙디 아니야 시러곰 가져가디 몯더니라 ≪1481 두시-초 17:27ㄱ
16세기 : (닉숙다)
만코 닉숙은 양이라 ≪1588 소언 4:54ㄱ
17세기 : (닉숙다)
니건 예 믌결 시 기튼 盜賊을  저긔 驊騮馬ㅣ 닉숙디 아니야 시러곰 가져가디 몯더니라 ≪1632 두시-중 17:27ㄱ
19세기 : (닉식다, 니익숙하다)
닉식다 慣熟 ≪1880 한불 284
니익숙하다 習熟 ≪1895 국한 235
관련 정보 15세기 ‘닉숙다’의 어간이 동사 ‘닉-’에 한자 ‘熟’이 결합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