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우물

- 품사
- 「명사」
- 「001」물을 긷기 위하여 땅을 파서 지하수를 괴게 한 곳. 또는 그런 시설.
- 우물을 파다.
- 우물이 깊다.
- 우물에서 물을 긷다.
- 한 차례 물을 길어 마시고 발등에 쏟아붓고 나는 다시 끝없이 두레박줄을 풀어 내며 우물 속을 들여다보았다.≪오정희, 유년의 뜰≫
- 도르래가 달린 커다란 우물과 동편 구석 자리의 교장 사택도 여전했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 창길의 아내는 그동안에 우물로 가서 물을 한 동이 길어 이고 지금 막 돌아와서 부뚜막에 올려놓았다.≪이기영, 봄≫
- 그녀는 우물에서 정화수를 떠 왔다. 그때, 딸 용녀가 산모퉁이를 돌아왔다.≪한승원, 해일≫
- 여름철만 아니라면 또 모르겠는데 이건 한창 무더운 삼복 때이고 보니 옷은 벗어야겠고, 우물에 나가 물도 끼얹어야겠고, 정말 할 짓이 아니었다.≪하근찬, 야호≫
- 양반들이란 욕심이 너무 많아서 그렇단다. 영산강은 메워도 양반들 욕심은 못 채울 것이다. 그들은 같이 우물을 파고도 자기 혼자만 마시려고 욕심을 부리는 사람들이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드레-물(강원), 뜨레물(강원), 운굴(강원), 울굴(강원, 경상), 웅굴(강원, 경북), 웅글(강원), 응굴(강원), 운물(경기), 웅데이(경기, 경북), 윔물(경기), 새물(경남), 새미(경남, 전남), 새미-물(경남), 움(경북, 평안), 움물(경북), 웅덩이(경북), 물-통(제주), 삼통(제주), 어물(평남), 두룸-물(평북), 디린-물(평북), 엄물(평북), 두룻-물(평안), 두룽물(평안), 두릉물(평안), 웅물(평안), 구렁-깨(함북), 구렁-물(함북), 그렁-물(함북), 무깨(함북), 우무깨(함북), 옴물(황해)
- 옛말
- 우믈
역사 정보
우믈(15세기~19세기)>우물(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우물’의 옛말인 ‘우믈’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에 양순음 ‘ㅁ, ㅂ, ㅍ, ㅃ’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에 의하여 ‘우물’로 바뀌어 오늘날에 이른다. 한편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움믈’은 제2음절의 초성 ‘ㅁ’을 중철 표기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우믈, 움믈, 우물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0)
- 관용구우물 공사
- 공동 우물 같은 곳에서 물을 긷거나 빨래 따위를 하면서 잡담을 즐기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우물 들고 마시겠다
- 성미가 몹시 급함을 비꼬는 말.
- 속담우물 밑에 똥 누기
- 심술 사납고 고약한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우물 안 개구리[고기]
- 넓은 세상의 형편을 알지 못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우물에 가 숭늉 찾는다
- 모든 일에는 질서와 차례가 있는 법인데 일의 순서도 모르고 성급하게 덤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보리밭에 가 숭늉 찾는다’ ‘싸전에 가서 밥 달라고 한다’
- 속담우물에도 샘구멍이 따로 있다
- 늘 물이 차 있는 우물에도 물이 샘솟는 구멍은 따로 있다는 뜻으로, 무슨 일에서나 핵심이 되고 중요한 역할을 맡아 하는 대상은 따로 있는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우물 옆에서 목말라[말라] 죽는다
- 사람이 무슨 일에나 도무지 융통성이 없고 처신할 줄 모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우물을 파도 한 우물을 파라
- 일을 너무 벌여 놓거나 하던 일을 자주 바꾸어 하면 아무런 성과가 없으니 어떠한 일이든 한 가지 일을 끝까지 하여야 성공할 수 있다는 말.
- 속담우물 좋고 정자 좋고 다 좋은 집 있나
- 모든 조건이 다 갖추어진 완전무결한 것은 거의 없으니 얼마간의 부족한 점은 참아야 한다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