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박따발음 듣기]
활용
밝아[발가발음 듣기], 밝으니[발그니발음 듣기], 밝고[발꼬발음 듣기], 밝는[방는발음 듣기], 밝지[박찌발음 듣기]
품사
「동사」
「001」밤이 지나고 환해지며 새날이 오다.
벌써 새벽이 밝아 온다.
장례를 마친 이튿날이 밝기도 전부터 이젠 본칠이 제 자신의 행선을 추적하기 시작했다는 황승로의 거동에 관한 귀띔이 있고부터….≪이문구, 장한몽≫
새 정이 들자마자 어느새 밤이 밝네.≪현진건, 무영탑≫
이밤에야 어디를 가랴, 낼 아침 밝는 대로 떠나겠노라 했다….≪김유정, 솥≫
날은 차차로 차차로 밝아 오다가 삽시간에 아주 훤하니 밝는다.≪채만식, 탁류≫
한잠 자고 이따 날이 완전히 밝거든 가 보세.≪고정욱, 원균 그리고 원균≫
이렇게 병정들마저 동정이 자못 심상치 않자, 목사와 중대장은 날이 밝는 즉시 타고 온 중국 화륜선을 떠나보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밝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밝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함에 따라 ‘다’도 ‘밝다’가 되었으나 ‘밝다’가 실제 문헌에서 확인되는 것은 19세기부터이다. 19세기에 ‘다’와 ‘밝다’가 공존하였으나 둘의 소리는 동일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밝다’로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다, 밝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火珠는 블 구스리니 블티 니라1447 석상 3:28ㄴ
그제 춋브리  가 잇더니 太子ㅣ 보시고 너기샤 ≪1447 석상 3:26ㄱ
16세기 : (다)
닐오미 올타 네 말 드러 하 거든 가리라 ≪1510년대 번노 상:31ㄱ
오리 스므이트리로소니 새배 히  리로다1510년대 번노 상:25ㄱ
17세기 : (다)
 우러 궤연의 가 울고 거 분묘애 가 울고 ≪1617 동신속 효4:90ㄴ≫
이 알면 밋쳐 굴헝을 밝고 심황으로 이 앏면 ≪17세기 마경 상:34ㄴ
오은 스므 이틀이니 새배 졍히 이 글이라1670 노언 상:22ㄴ
18세기 : (다)
이믜 죡히 담이 러지고 일월의 으시미 비최디 못이 업오시니 ≪1778 속명의 2:12ㄱ
겨집이 밤의 나디 아니니 밤의 날 적은 근 燭 잡으라 호 외오고 ≪1737 어내 1:23ㄴ
19세기 : (다, 밝다)
다1880 한불 298
모든 악 각를 더을면 음이 밝고 힘을 인륜과 오샹의 두면 음이 바르고 ≪1880 삼성 19ㄴ
물을 거두고 음난을 며 발근 데 쇽이고 어둡게 쇽이며 빗구러지게 말고 ≪1880 과화 6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