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무섭따

- 활용
- 무서워[무서워


- 품사/문형
- 「형용사」 【…이】【-기가】
- 「001」어떤 대상에 대하여 꺼려지거나 무슨 일이 일어날까 겁나는 데가 있다.
- 나는 뱀이 무섭다.
- 하늘이 무섭지 않으냐?
- 어두운 길을 오느라 무서워서 혼났다.
- 사형 선고를 받고도 그는 죽는다는 것이 별로 무섭지가 않았다.
- 메탄가스는 두세 번의 호흡만으로도 사람을 질식시키는 무서운 가스였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사람의 예감이란 정말 무서운 것이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 아버지 대하기가 무서워서 그는 친구네 집으로 발길을 돌렸다.
- 싸우기가 그렇게 무서우면 뭐 하려고 전쟁에 나왔소?≪송기숙, 녹두 장군≫
- 웅보는 큰 바다에 나가기가 무서웠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무십다(강원, 경상), 미섭다(강원, 충남), 미숩다(강원), 무셥다(경기, 함북, 중국 길림성), 무삽다(경북, 전남), 무시다(제주), 메섭다(충남), 미셥다(충남), 뮈섭다(충북), 미습다(평남), 미십다(평남), 무접다(평북), 무셉다(함북)
역사 정보
므엽다(15세기)>무셥다(17세기~19세기)>무섭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무섭다’의 옛말인 ‘므엽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므엽다’는 “무서워하다”라는 뜻의 동사 ‘므다’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이 결합한 것이다. ‘므엽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므엽-’으로 나타나고 매개모음이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므-’으로 나타나 ‘므엽-/므-’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5세기 중엽부터 ‘ㅸ’이 모음 앞에서 반모음 w로 변하면서 ‘므-’이 ‘므여우-’로 실현되면서 ㅂ 불규칙 용언의 활용 양상을 갖게 되었다. 16세기에 ‘ㅿ’이 변화를 겪게 되었는데 대개의 경우는 ‘ㅿ>ㅇ’으로 변화하였으나 간혹 ‘ㅿ>ㅅ’으로 변화하기도 하였다. ‘므엽다’는 후자의 경우에 속하여 ‘므엽다>*므싀엽다’로 변화하고, 제2음절의 이중모음 ‘ㅢ’가 단모음 ‘ㅣ’로 바뀌고 다시 제3음절의 이중모음 ‘ㅕ’와 축약되면서 ‘므셥다’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 양순음 ‘ㅁ, ㅂ, ㅍ’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하는 원순모음화가 일어났는데 ‘므셥다’도 원순모음화를 경험하여 ‘무셥다’로 나타난 것이다. ‘무셥다’는 19세기 이후 자음 ㅅ 뒤에서 이중모음 ‘ㅕ’가 ‘ㅓ’로 바뀌면서 현대 국어와 같은 ‘무섭다’가 되었다. 한편 17세기에는 ‘므엽다’의 제2음절 자음 ‘ㅿ’이 사라진 ‘므의엽다’ 형태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
---|---|
이형태/이표기 | 므엽-, 므-, 므여우-, 므셥-, 무셥-, 무셔우-, 므의엽-, 므의여우-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무섭다니까 바스락거린다
- 남의 약점을 알고 더욱 난처하게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가만히 먹으라니까 뜨겁다 한다’
- 속담무섭지는 않아도 똥 쌌다는 격
- 분명히 나타난 결과와 사실에 대하여 구구하게 그렇지 아니하다고 변명함을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