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달리

- 품사
- 「부사」
- 「001」사정이나 조건 따위가 서로 같지 않게.
- 달리 생각하다.
- 지난번과 달리 말하다.
- 달리 좋은 수가 없을까?
- 머리 모양을 바꾸니 사람이 달리 보인다.
- 영희의 목소리는 아침과는 달리 밝고 들떠 있었다.≪이문열, 변경≫
- 여옥은 옛날과 달리 쑥색 한복 차림에 버선을 신고 하얀 고무신을 신고 있어서 이들은 남 보기에 중년 부부 같았다.≪박경리, 토지≫
- 아버지는 처음 집에 당도했을 때와는 달리 아무 말도 없이 기침을 쏟으면서 담배 연기만을 방 안에 가득 뿜어 댔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오늘의 그의 말투는 며칠 전 잡혀왔을 때와는 달리 아주 호의적인 것으로 느껴졌다.≪선우휘, 사도행전≫
- 김 부장은 아침과는 달리 심각한 표정을 짓고 있었다.
- 이건 내 성의니까 달리 생각 말고 받아라.
- 그녀는 겉모습과는 달리 속이 좋지 않았다.
역사 정보
달이(15세기~17세기)>달리(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달리01’의 옛말인 ‘달이’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달이’는 “다르다”의 의미인 ‘다-’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5세기의 ‘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달ㅇ-’로 나타나다가 이후 ‘달ㄹ-’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16세기에 ‘달리’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8세기의 ‘달니’는 어중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하던 당시의 표기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달이, 달리, 달니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