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닥

- 활용
- 닭이[달기


- 품사
- 「명사」
- 분야
-
『동물』
- 학명
- Gallus domesticus
- 「001」꿩과의 새. 머리에 붉은 볏이 있고 날개는 퇴화하여 잘 날지 못하며 다리는 튼튼하다. 육용과 난용으로 육종된 수많은 품종이 있으며, 가금으로 가장 많이 사육한다. 원종은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의 들꿩이다.
- 뒤뜰에서 닭 몇 마리가 모이를 쪼아 먹고 있었다.
- 그는 저녁이 되자 풀어놓았던 닭을 닭장에 가두었다.
- 옆집은 귀한 손님이 오셨는지 닭을 잡는다 술상을 차린다 하며 부산하다.
- 닭들은 모이를 먹고 외양간의 횃대에 오른 뒤다.≪한수산, 유민≫
- 실상 나는 오래전부터 비둘기를 그만두고 닭을 기를 계획이었지만 비둘기를 다 처분할 수가 없었다.≪박경리, 원주통신≫
- 뜰 한쪽에 닭 털이 수북이 흩어진 것으로 보아 닭을 잡는 것을 알 수 있었다.≪최인훈, 회색인≫
- 청승맞게 땅만 내려다보며 곡식이나 푸성귀 따위를 가꾸기에 정신을 팔았고 돼지나 닭을 치는 데 정성을 기울이는 것이었다.≪박용구, 산울림≫
- 나졸은 닭 날개를 모아 잡았다. 닭이 꾹꾹 소리를 질렀다.≪송기숙, 녹두 장군≫
- 제수로 쓸 닭 두 마리는 발목이 묶인 채 눈을 뒤룩거리고 있었다.≪한승원, 해일≫
- 고을 전반의 호구가 세밀히 파악되어 누가 닭 몇 수를 가지고 있다는 것까지 가가호호의 재산 명세가 적혀 있는 책자였다.≪유현종, 들불≫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덕금(德禽)
- 지역어(방언)
- 달(강원, 경상, 충북, 평북, 함남), 닥(경남), 달구-세끼(경남, 전남), 덕(경남), 닼(경상, 충북), 달기(평남, 황해), 께기(함남)
- 옛말
-
역사 정보
(15세기~19세기)>닭(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닭’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등장한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와 소리가 같아지면서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닭’이 등장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 , , 닭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28)
- 관용구닭 물 먹듯
- 무슨 일이든 그 내용도 모르고 건성으로 넘기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관용구닭 발 그리듯
-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솜씨가 매우 서툴고 어색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그 아이는 엄마에게 쪼르르 달려가더니 닭 발 그리듯 그린 엉성한 그림을 자랑스럽게 펼쳐 보였다.
- 관용구닭 싸우듯
- 크게 으르지도 못하고, 서로 엇바꾸어 가며 상대를 치고받고 싸우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그는 언제나 이 사람 저 사람 집적거리며 닭 싸우듯 싸우고 다닌다.
- 관용구닭이 헤집어 놓은 것 같다
- (비유적으로) 몹시 어지럽고 무질서하게 널려 있다.
- 속담닭 길러 족제비 좋은 일 시킨다
- 애써 기른 닭을 족제비가 물어 갔다는 뜻으로, 애써 하던 일이 남에게만 좋은 일이 되어 버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닭도 제 앞 모이 긁어 먹는다
- 제 앞의 일은 자기가 처리하여야 한다는 말.
- 속담닭도 홰에서 떨어지는 날이 있다
- 아무리 익숙하고 잘하는 사람이라도 간혹 실수할 때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나무 잘 타는 잔나비 나무에서 떨어진다’
- 속담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 서로 아무런 관심도 두지 않고 있는 사이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닭 손님으로는 아니 간다
- 닭장에 낯선 닭이 들어오면 본래 있던 닭이 달려들어 못살게 굴듯이, 손님을 반가워하지 않는 집에는 가야 좋은 대접을 받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닭의 갈비 먹을 것 없다
- 형식만 있고 내용이 보잘것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닭의 대가리가 소꼬리보다 낫다
- 크고 훌륭한 자의 뒤를 쫓아다니는 것보다는 차라리 작고 보잘것없는 데서 남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낫다는 말. <동의 속담> ‘닭의 볏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닭의 부리가 될지라도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닭의 입이 될지라도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 속담닭의 똥이 엿 같아도 먹지 못한다
- 겉보기에는 비슷하게 생겼으나 실지 내용은 전혀 쓸모없는 딴 것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닭의 목을[모가지를] 베고 잔다
- 닭의 목을 베고 자다가 닭과 함께 새벽 일찍 깨어난다는 뜻으로, 새벽잠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닭의 발목을 먹었느냐
- 닭이 발로 자꾸 땅을 헤집어 파는 것처럼 무엇을 자꾸 헤집어 놓는 사람을 핀잔하는 말.
- 속담닭의 볏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 크고 훌륭한 자의 뒤를 쫓아다니는 것보다는 차라리 작고 보잘것없는 데서 남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낫다는 말. <동의 속담> ‘닭의 대가리가 소꼬리보다 낫다’ ‘닭의 부리가 될지라도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닭의 입이 될지라도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 속담닭의 부리가 될지라도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 크고 훌륭한 자의 뒤를 쫓아다니는 것보다는 차라리 작고 보잘것없는 데서 남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낫다는 말. <동의 속담> ‘닭의 볏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닭의 대가리가 소꼬리보다 낫다’ ‘닭의 입이 될지라도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 속담닭의 새끼가 발을 벗으니 오뉴월만 여긴다
- 닭의 새끼가 맨발로 다니는 것을 보고 오뉴월 더운 때인 줄 안다는 뜻으로, 한창 추운 때에 추위를 막을 대책을 전혀 세우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닭의 새끼 봉 되랴
- 병아리 같은 흔한 동물이 귀하고 상서로운 봉이 될 리가 없다는 뜻으로, 본시 제가 타고난 대로밖에는 아무리 하여도 안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우마가 기린 되랴’ ‘까마귀 학이 되랴’ ‘나무 뚝배기 쇠 양푼 될까’ ‘나무 접시 놋접시 될까’
- 속담닭의 입이 될지라도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 크고 훌륭한 자의 뒤를 쫓아다니는 것보다는 차라리 작고 보잘것없는 데서 남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낫다는 말. <동의 속담> ‘닭의 볏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닭의 대가리가 소꼬리보다 낫다’ ‘닭의 부리가 될지라도 소의 꼬리는 되지 마라’
- 속담닭이 천이면 봉이 한 마리 있다
- 사람이 많으면 그중에는 뛰어난 사람도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닭 잡아 겪을 나그네 소 잡아 겪는다
- 어떤 일을 처음에 소홀히 하다가 나중에 큰 손해를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닭 잡아 할 제사 소 잡아 하게 된다’ ‘새 잡아 잔치할 것을 소 잡아 잔치한다’
- 속담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놓기
- 옳지 못한 일을 저질러 놓고 엉뚱한 수작으로 속여 넘기려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닭 잡아 할 제사 소 잡아 하게 된다
- 어떤 일을 처음에 소홀히 하다가 나중에 큰 손해를 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닭 잡아 겪을 나그네 소 잡아 겪는다’ ‘새 잡아 잔치할 것을 소 잡아 잔치한다’
- 속담닭 쫓던 개 울타리 넘겨다보듯
- 개에게 쫓기던 닭이 지붕으로 올라가자 개가 쫓아 올라가지 못하고 지붕만 쳐다본다는 뜻으로, 애써 하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남보다 뒤떨어져 어찌할 도리가 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닭 쫓던 개 지붕[먼 산] 쳐다보듯’ ‘닭 쫓던 개의 상’
- 속담닭 쫓던 개의 상
- 개에게 쫓기던 닭이 지붕으로 올라가자 개가 쫓아 올라가지 못하고 지붕만 쳐다본다는 뜻으로, 애써 하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남보다 뒤떨어져 어찌할 도리가 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닭 쫓던 개 지붕[먼 산] 쳐다보듯’ ‘닭 쫓던 개 울타리 넘겨다보듯’
- 속담닭 쫓던 개 지붕[먼 산] 쳐다보듯
- 개에게 쫓기던 닭이 지붕으로 올라가자 개가 쫓아 올라가지 못하고 지붕만 쳐다본다는 뜻으로, 애써 하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남보다 뒤떨어져 어찌할 도리가 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닭 쫓던 개 울타리 넘겨다보듯’ ‘닭 쫓던 개의 상’
- 속담닭 한 마리를 잡아먹어도 인끔이 있어야 잡아먹는다
- 닭 한 마리를 잡아먹어도 이웃 간에 신망이 있어야 말썽이 생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중의 신망을 잃으면 아무것도 제대로 이룰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