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달ː다

- 품사/문형
- 「동사」 【…을】
-
「017」((‘달라’, ‘다오’ 꼴로 쓰여)) 듣는 이가 말하는 이에게 어떤 것을 가지게 하거나 누리게 하다.
※ 문장 끝의 ‘다오’가 쓰일 자리에 ‘주어라(줘라)’, ‘주라’가 오기도 한다.
- 아이가 용돈을 달라고 한다.
- 옷을 이리 다오.
- 대관절 얼마나 달라는 것이오?
- “얘, 차 한잔 다오.” 서류를 철하고 있던 급사 애가 찻잔에다 엽차를 따른다.≪박경리, 시장과 전장≫
- 드디어 흥선 부인을 찾아서 승호를 이 집 양자로 달라고 간청을 하였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 어른들은 그가 큰소리를 치면 기가 꺾여 말미를 더 달라고 비는 것이었으나, 아이들은 그를 무서워하지 않았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주인이 시간이 다 되었다는 말을 한 것 같았다. 그래도 술을 달라고 한 기억이 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사흘을 연거푸 오면서 동회 서기는 일꾼 하나를 달라고 주인에게 졸랐다.≪이호철, 소시민≫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주다
역사 정보
달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달다05’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달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