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계ː시다발음 듣기/게ː시다발음 듣기]
활용
계시어[계ː시어발음 듣기/게ː시여발음 듣기](계셔[계ː셔발음 듣기/게ː셔발음 듣기]), 계시니[계ː시니발음 듣기/게ː시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
「001」있다’의 높임말.
시골에 계시는 부모님.
교수님은 지금 댁에 계실 겁니다.
안에 누구 안 계시니?
그럼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역사 정보

겨시다(15세기~19세기)>계시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계시다’의 옛말인 ‘겨시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겨시다’는 16세기에 제1음절 모음 ‘ㅕ’가 ‘ㅖ’로 바뀌어 ‘계시다’가 되면서 현재에 이른다. 16세기에 ‘ㅕ’가 ‘ㅖ’로 바뀐 이유에 대해서는 정확히 설명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뒤 음절의 모음 ‘ㅣ’의 영향으로 앞 음절의 ‘ㅕ’가 ‘ㅖ’로 바뀌는 ‘ㅣ’ 모음 역행동화는 18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일어나는데 ‘겨시다’의 경우 이러한 변화를 16세기에 경험한 것이다. 15세기의 ‘겨시다’는 본래 ‘겨-’와 선어말어미 ‘-시-’가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 것으로, 어미 ‘-아/어’가 결합할 때 ‘겨샤’로 나타나 15세기에 ‘마시다’가 ‘마셔’로 나타나는 것과 차이를 보인다. 이는 선어말어미 ‘-시-’와 동일한 활용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겨시-’의 ‘-시-’가 선어말어미 ‘-시-’임을 짐작할 수 있다. 근대국어 시기까지 ‘겨시다’는 현대 국어의 ‘계시다’뿐 아니라 ‘있으시다’가 쓰일 자리에도 사용되었다. 즉 주어가 존칭의 유정 체언인 경우뿐만 아니라 주어가 존대의 대상과 관련된 것일 때에도 ‘겨시다’가 쓰였다.
이형태/이표기 겨시다, 계시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겨시다)
菩薩 보 플 우희 안자 겨시다 더라 ≪1447 석상 3:43ㄴ
지븨 겨시면 輪王이 외시리로소다 ≪1447 석상 3:1ㄱ
柳山애 겨샤도 說法시며 ≪1447 석상 6:41ㄱ
16세기 : (겨시다, 계시다)
우리 관원이 어듸 겨시더뇨1510년대 번박 64ㄴ
오 사오나이 리도 겨시며 그믈 앗 아니 니리도 겨시며 ≪1518 정속 25ㄱ≫
님금이 병이 겨샤 약을 자시거든 신해 몬져 맛보며 ≪1588 소언 2:23ㄴ
다 마 몯 미처 야 계시거든 잡말야 섯디 마롤 디니라 ≪1517 번소 3:28ㄱ
先賢ㅣ 이 趙州禪 이리 츼텨도 도샨 密意ㅣ 계시니1569 선가 15ㄴ
17세기 : (겨시다, 계시다)
요이 님그미 洛陽애 겨시다 傳고 ≪1632 두시-중 10:11ㄴ
부 여긔 겨시니 쳡비 혼자 어 가리오 ≪1617 동신-신 열6:27ㄴ≫
肅宗ㅣ 녜 靈武城에 겨샤 猛將을 치샤 咸陽ㅅ 셔울흘 收復시니라 ≪1632 두시-중 25:48ㄱ
釜山浦 니르시믄 요이 됴히 계시던가 ≪1676 첩해신어-초 2:16ㄱ≫
안 계시면 오려 여 案內 오시 라 니고 오라 ≪1676 첩해신어-초 1:1ㄴ≫
18세기 : (겨시다)
드듸여 寵異심을 보아 샹해 後堂애 겨시더니 明帝 卽位샤 后로  貴人을 사므시니 ≪1737 어내 2:35ㄱ
聖明이 우희 겨시니 결단코 일로 사을 罪티 아니리니 ≪1721 오륜전비 5:42ㄴ
일즉 나 조차 軍 듕에 겨샤 倉卒에 스로 골픔을 으시고 ≪1737 어내 2:80ㄴ
六宮은 나 皇后ㅣ 계시고 다 夫人으로 아래 잇 곳이라 ≪1737 어내 2:37ㄴ
正官은 어듸 계시온고 ≪1748 개수첩해신어 1:22ㄴ≫
19세기 : (겨시다, 계시다)
동궁의 병환이 겨시 징의 약을 진어샤  쳡의 나으시니 ≪1852 태상 1:07ㄴ
뎨군의 셩샹에  흔젹이 계시더라1880 과화 18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