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자빠지다

- 활용
- 자빠지어[자빠지어




- 품사/문형
- 「동사」 【…에】【…으로】
- 「001」뒤로 또는 옆으로 넘어지다.
- 눈길에 미끄러져 자빠지다.
- 이제 걸음마를 시작한 아이가 몇 발짝 가더니 이내 뒤로 자빠져 버린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자빠라-지다(경남), 자빠러-지다(경북), 자뻐-지다(경북), 대배-지다(경상, 함남, 황해), 자뿌라-지다(전남), 자뿌라-디다(평북), 쟈뿌라-디다(평북), 다배-지다(함경), 디베-지다(함경), 번제-지다(함북)
- 옛말
- 졋바-디다
역사 정보
졋바디다(15세기~18세기)>졋바지다(18세기)>잣바지다(19세기)>자빠지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자빠지다’의 옛말인 ‘졋바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중세 국어에서 받침에 쓰인 ‘ㅅ’은 뒤에 오는 평장애음과 어울려 된소리로 발음되었는데 ‘졋바디다’, ‘졋디다’는 동일하게 발음되면서 표기만 다른 어형이라 할 수 있다.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로 ‘졋바디다’는 ‘졋바지다’가 되어 18세기 문헌에 나타난다. ‘졋바지다’의 제1음절 모음이 양성 모음으로 변하는 이유는 분명히 설명하기 어렵다. ‘ㅂ’의 된소리 표기가 ‘ㅽ’에서 ‘ㅃ’으로 바뀜에 따라 ‘자빠지다’로 표기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졋바디다, 졋디다, 졋바지다, 졉바지다, 졋버디다, 잣바지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