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부르다발음 듣기]
활용
불러[불러발음 듣기], 부르니[부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말이나 행동 따위로 다른 사람의 주의를 끌거나 오라고 하다.
지나가는 친구를 큰 소리로 불렀다.
어머니가 아이를 손짓하여 부른다.
그녀는 자기를 부르는 소리를 듣고도 모른 척하였다.
마 중사는 기운차게 중대장을 부르고 곧 수화기를 벙커 기둥에 철컥 걸었다.≪홍성원, 육이오≫
마침내 마이크에서 구주현의 수감 번호와 면회실의 번호를 부르는 소리가 들렸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역사 정보

브르다(15세기~18세기)>부르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부르다’의 옛말인 ‘브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브르다’는 자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브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에는 ‘블ㄹ-’로 이형태 교체를 하는 ‘르’ 불규칙 동사였다. 근대국어 시기에 양순음 ‘ㅂ, ㅁ, ㅍ’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변하는 원순모음화가 일어났는데 ‘브르다’도 이러한 변화를 겪어 17세기에 ‘부르다’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19세기까지 원순모음화를 경험하지 않은 ‘브르-’형과 원순모음화를 경험한 ‘부르-’형이 공존하다가 20세기 이후 ‘부르-’로 정착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19세기 문헌에 보이는 ‘블으다, 불으다’ 등은 ‘브르다, 부르다’를 과잉 분철 표기한 것이다. ‘브다, 부다’는 16세기에 비어두음절에서 일어난 ‘ㆍ>ㅡ’의 변화를 의식한 과도 교정 표기이며 17세기 이후 나타나는 ‘블너, 불너’와 같은 표기는 ‘블러, 불러’로 나타나야 할 것을 어중의 ‘ㄹㄹ’을 ‘ㄹㄴ’으로 표기하는 당시의 경향에 따라 표기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브르-, 블ㄹ-, 부르-, 불ㄹ-, 블르-, 블으-, 불으-, 불ㄴ-, 블ㄴ-, 부-, 부루-, 브-
세기별 용례
15세기 : (브르-, 블ㄹ-)
시혹 鬼神王 일후미라 그 王 브르면 妖怪옛 귓거시 헤라 굿블리도 잇니 ≪1447 석상 21:22ㄴ
王이 블러다가 太子ㅅ 버들 사샤 ≪1447 석상 3:18ㄴ
16세기 : (브르-, 블ㄹ-, 블으-)
萬石君이 朝服 닙고 보고 일훔 브르디 아니며 ≪1517 번소 9:83ㄴ
원컨댄 그 아 블러 주쇼셔 允이 그 아를 블러1518 번소 9:81ㄴ
샹셔 닐그며 으프며 놀애 블으며 춤츠며 ≪1588 소언 사:3ㄱ
17세기 : (브르-, 블ㄹ-, 브-, 블르-, 블으-, 부-, 블ㄴ-)
이옷 지븨셔 서 놀애 브르리도 이시며 울리도 잇도다 ≪1632 두시-중 2:58ㄴ
임진왜난의 도적의 자핀 배 도여 크게 블러 오 수이 나 주기라 고 ≪1617 동신속 열5:27ㄴ≫
옥 지아븨 옷매 잡고 매 드러 크게 브니 범이 즉제 리고 가니라 ≪1617 동신속 열2:48ㄴ≫
南녀킈 늘근 사은 巴州ㅅ 놀애 블르고 醉커늘 ≪1632 두시-중 11:9ㄱ
온 가짓 노 後에 나모지 놀애 블으놋다1632 두시-중 5:52ㄱ
歌唱 노래 부다1690 역해 상:60ㄱ
믄득 드러오나 소래 칼흘 분발여 크기 블너 오 ≪1617 동신속 충1:10ㄴ≫
18세기 : (브르-, 블ㄹ-, 블ㄴ-, 브-, 블으-, 부르-, 불ㄹ-, 불으-, 부-, 불ㄴ-)
신이 맛당히 죵두지미히 귀귀 라 입으로 브르오리이다 ≪1778 속명 2:8ㄴ≫
全이 마 손을 잔 惜을 블러 노래 부라 니 ≪1737 여사 4:37ㄱ
져기 일 아을 기드리오셔 부빈을 블너 인졉오샤 쳐티오쇼셔 ≪1756 천의 1:49ㄴ
이 우믈을 므 우믈이라 브뇨 이 우믈을 淸洌泉이라 브니이다1721 오륜전비 7:38ㄱ
夫人이 老身을 블으시니 므 일이 잇니잇고 ≪1721 오륜전비 2:10ㄴ
아오로 뎌로 여 노래 부르고 여러 가지 잡노롯 이 불러 와 ≪1765 박신 1:05ㄴ
내 집의 도라가 우리 老婆 불러 와 너 티리라 ≪1721 오륜전비 1:12ㄱ
呌門 문 열라 불으다1775 역해 보:13ㄴ
혹 부모 부며 쳐 불너 경샹이 잔잉니 ≪1762 어경 1ㄴ
19세기 : (브-, 블ㄴ-, 부르-, 불으-, 부-, 불ㄴ-)
노 브다 唱歌 ≪1880 한불 290
혹 반 년만의 분수를 보와 블너 도라오게 고 다른 를 밧고와 보 ≪1883 이언 2:14ㄴ
현령 만겸이 만뎨를 부르고 머리를 두다리니 ≪1880 과화 17ㄱ
불으다 招呼 ≪1895 국한 154
부다 召 ≪1880 한불 343
홀연 드르니 젼로셔 왕용여를 불너 드러와 뵈라 거 ≪1876 남궁 11ㄴ

관용구·속담(1)

관용구부르느니 말하지
가까운 거리에 있으면서 불러오라고 시키는 것보다는 마주 대고 말을 하는 것이 더 빠름을 이르는 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