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쓰다발음 듣기]
활용
써[써발음 듣기], 쓰니[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 …을】
「001」붓, 펜, 연필과 같이 선을 그을 수 있는 도구로 종이 따위에 획을 그어서 일정한 글자의 모양이 이루어지게 하다.
연습장에 붓글씨를 쓰다.
방명록에 이름을 쓰다.
오늘 배운 데까지 공책에 두 번 오는 게 숙제다.
아무렇게나 흘려 쓰지 말고 정성껏 또박또박 써라.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씨다(경남), 시다(경북)
옛말
스다

역사 정보

쓰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쓰다’의 옛말인 ‘쓰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5세기~17세기 문헌에는 ‘쓰다’와 함께 ‘스다’가 공존하였는데, 이는 1465년 ≪원각경언해≫ 간행 때부터 각자병서를 표기에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6세기 이후 각자병서가 표기에 다시 사용되면서 ‘쓰다’가 일반화되었다. 한편 17세기~19세기 문헌에는 ‘다’로 표기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사라지면서 중세국어에서 어두자음군이었던 ‘ㅄ’이 ‘ㅅ’의 된소리로 변화하여 이 시기에 ‘ㅅ’의 된소리 표기에서 ‘ㅆ’과 ‘ㅄ’이 혼동되었기 때문이다.
이형태/이표기 쓰다, 스다, 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쓰다, 스다)
ㅇ 입시울쏘리 아래 니 쓰면 입시울가야소리 외니라 ≪1446 훈언 12ㄱ
序는 글 론 들 子細히 後ㅅ 사 알의  거시라 ≪1459 월석 1:석서1ㄱ
 됴 朱砂 리 라 혀에 鬼ㅈ 字 스고  니마희 슬 디니 ≪1466 구방 상:16ㄴ
이 二十五輪ㅅ 名字 文句를 道場ㅅ 中에 두고 精誠으로 體며 念야 ≪1465 원각 하2-2:41ㄱ
16세기 : (쓰다, 스다)
어딘 일이 잇거든 글월에 쓰고1588 소언 6:16ㄴ
네 나를   빋 내 글월 다고려 죠 먹 붇 벼루 가져 오라 내 너 주마 ≪1510년대 번박60ㄱ≫
어딘 이리 잇거든 글월에 스고1518 번소 9:18ㄱ
17세기 : (쓰다, 스다, 다)
號令을 내니  城ㅣ 어듭고 그를 쓰니 밀로 혼 브리 븕도다 ≪1632 두시-중 14:13ㄱ
활 며  졔御기며 글 스며 혬 혜 글월 치며 ≪17세기 여훈 하:28ㄴ
寫字 글 다1690 역해 상:15ㄱ
18세기 : (쓰다, 다)
年滿 타로 手戰여  글시 쓰기 어렵거니와 ≪1790 인어 5:12ㄱ
그  양 보오면 샹검이 냥 두필을 가디고 글을 되 혹 진셔로도 고 혹 언문으로도 다가 ≪1756 천의 2:44ㄱ
19세기 : (쓰다, 다)
혹 손조 닉이거나 혹 글 쓰거나 글을 닑거나  거시 비록 네 본분이나 ≪1892 성직 4ㄴ
 인명하의  슈결을 시다가 쥬져야 붓슬 나리오지 아니시더니 ≪1876 남궁 11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