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째어지다발음 듣기]
활용
째어지어[째어지어발음 듣기/째어지여발음 듣기](째어져[째어저발음 듣기]), 째어지니[째어지니]
품사
「동사」
「001」터져서 갈라지거나 베어져서 벌어지다.
운동하다 보니 나도 모르는 사이에 바지가 째어졌다.
칼을 잘못 사용해 손등이 째어졌다.

관련 어휘

준말
째-지다
옛말
야-디다

역사 정보

야디다(15세기)/여디다(15세기~17세기)>여지다(19세기)>째어지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째어지다’의 옛말인 ‘야디다, 여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야디다, 여디다’는 동사 ‘-’와 연결어미 ‘-아/-어’, 동사 ‘디-’가 결합한 구 구성으로부터 합성어로 발전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사라지고 어두된소리화를 겪어 초성의 ㅶ이 ㅈ의 된소리가 되고, ㄷ구개음화의 영향을 받아 ‘여지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ㅈ의 된소리를 ㅾ으로 표기한 것은 된소리를 ㅅ계 합용병서로 표기하는 근대국어 표기법상의 특징이다. 18세기 문헌에는 이 단어의 예가 보이지 않고 19세기 문헌에 비로소 ‘여지다’가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이보다 앞서 어두된소리화를 겪은 ‘*여디다’ 형태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로 변하여 소리의 구별이 사라지면서 이중모음 ‘ㆎ’와 ‘ㅐ’의 소리도 같아지고, 다시 이중모음 ‘ㅐ’가 단모음화 하여 현대 국어와 같은 ‘째어지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야디다, 여디다, 여지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야디다, 여디다)
내 心肝이 야디여 더 피 吐며  울오 ≪1459 월석 10:24ㄴ
나 드리 氣니 寒氷이 자 이러 身肉이 어러 야딜 씨오 ≪1461 능엄 8:103ㄱ
시혹 히 그처디며 야디거든 새 ㅅ 거츨 밧겨 실 라 호고 ≪1466 구방 상:82ㄱ
부톄 이 니실 쩨 娑婆世界 三千大千 國土ㅣ 히 다 震動야 야디거1463 법화 5:81ㄴ
이 말 니실 제 三千世界ㅣ 히 다 震動야 여디거늘1465 원각 하2-2:35ㄱ
17세기 : (여디다)
입이 여디게 니다 說得口破 ≪1657 어록-초 20ㄱ
19세기 : (여지다)
무명으로 헌 옷 깁 사이 업문  것시 여져 기운 바  거시 헌 거세 합지 못할가 접퍼미오 ≪1887 성전
셩뎐 포쟝이 졀반이 여지니1887 성전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