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저더미]
품사
「명사」
「001」젖어머니’를 낮추어 이르는 말.
개동이는 술에 취한 채 울면서 어미 죽고 젖어미 없는 갓난아기 키우던 서러운 이야기를…들려주곤 했다.≪한승원, 겨울 폐사≫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졋어미(15세기~18세기)>젓어미(19세기)>젖어미(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젓어미’의 옛말인 ‘졋어미’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졋어미’는 명사 ‘졎’과 ‘어미’가 결합한 합성어로, 8종성법에 따라 ‘졎’이 ‘졋’으로 표기된 것이다. 근대국어 시기에 치경음이었던 ‘ㅈ, ㅊ’이 경구개음으로 바뀌어 ‘져’와 ‘저’의 발음이 같아져서 19세기에는 ‘젓어미’로 나타나게 되었다. 현대 국어에서는 원형을 밝혀 적는 표기 원칙에 따라 ‘젖어미’로 표기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졋어미, 젓어미
세기별 용례
15세기 : (졋어미)
太子ㅣ 出家가 저샤 五百 靑衣 야 졋어미 조차 니며 種種로 뫼 놀라 시고 ≪1447 석상 3:4ㄴ
16세기 : (졋어미)
졋어미 모 ≪1527 훈몽 상:17ㄱ
17세기 : (졋어미)
왕호괴 오 졋어미도 입을 삼가미 맛당니라 ≪1608 언두 하:41ㄱ
18세기 : (졋어미)
이제 각시ㅣ 아를 손조 졋 먹이냐  졋어미를 어덧냐 ≪1765 박신 1:55ㄴ
19세기 : (젓어미)
젓어미 乳母 ≪1895 국한 260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