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엳따

- 활용
- 옅어[여터


- 품사
- 「형용사」
- 「001」수면이 밑바닥에 가깝다.
- 그 갯벌밭에는 발등을 겨우 묻을 정도로 옅은 바닷물이 괴어 있었다.≪한승원, 해일≫
- 배는 수심이 옅은 강을 스쳐 다니기에 알맞도록 바닥이 납작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역사 정보
녙다(15세기~16세기)>옅다(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옅다’의 옛말인 ‘녙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녙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팔종성법에 따라 ‘녇-’으로 나타났다. 16세기에 반모음 ‘ㅣ’ 앞에서 ‘ㄴ’이 탈락한 ‘옅다’ 형태가 등장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근대국어 시기에는 종성의 ‘ㄷ, ㅌ’을 ‘ㅅ’으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어서 17~19세기 문헌에는 ‘옅-, 엳-’을 ‘엿-’으로 표기한 예가 나타나며, ‘엿ㅌ-’으로 중철 표기한 예도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녙-, 녇-, 옅-, 엳-, 엿-, 엿ㅌ-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