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엳따발음 듣기]
활용
옅어[여터발음 듣기], 옅으니[여트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수면이 밑바닥에 가깝다.
그 갯벌밭에는 발등을 겨우 묻을 정도로 옅은 바닷물이 괴어 있었다.≪한승원, 해일≫
배는 수심이 옅은 강을 스쳐 다니기에 알맞도록 바닥이 납작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녙다(15세기~16세기)>옅다(16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옅다’의 옛말인 ‘녙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녙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팔종성법에 따라 ‘녇-’으로 나타났다. 16세기에 반모음 ‘ㅣ’ 앞에서 ‘ㄴ’이 탈락한 ‘옅다’ 형태가 등장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한편 근대국어 시기에는 종성의 ‘ㄷ, ㅌ’을 ‘ㅅ’으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어서 17~19세기 문헌에는 ‘옅-, 엳-’을 ‘엿-’으로 표기한 예가 나타나며, ‘엿ㅌ-’으로 중철 표기한 예도 나타난다.
이형태/이표기 녙-, 녇-, 옅-, 엳-, 엿-, 엿ㅌ-
세기별 용례
15세기 : (녙-, 녇-)
큰 므레 가다가도 일후믈 일면 즉자히 녀튼  어드리어며 ≪1447 석상 21:2ㄴ
世間法엣 門은 녇고 室은 기품 디 아니니 ≪1465 원각 상1-2:105ㄱ
蒼梧애 슬후미 녇디 아니니 므리 믈드러 퍼깃 대예 잇도다 ≪1481 두시-초 6:29ㄱ
庾公의 興心이 녇디 아니며 黃覇 눌러쇼  安靜 도다 ≪1481 두시-초 24:42ㄱ
16세기 : (녙-, 옅-)
性字괘 各各 深淺이 다거 禪者과 敎者괘 다 이 일훔만 아라 或 녀튼 거 기피 알며 ≪1569 선가 9ㄱ
天下엣 學이 여트며 좁으며 고집며 거리 이 아니면 반시 이예 드니라 ≪1588 소언 5:120ㄱ
17세기 : (옅-, 엳-, 엿-, 엿ㅌ-)
閣淺  여튼  거다 ≪1690 역해 하:21ㄴ
蒼梧애 슬후미 엳디 아니니 눐므리 믈드러 퍼깃 대예 잇도다 ≪1632 두시-중 6:29ㄱ
庾公의 興心ㅣ 엿디 아니며 黃覇 눌러쇼믈 양 安靜 도다 ≪1632 두시-중 24:42ㄱ
엿트나 엿튼 우믈이니 그저 줄드레로 믈을 깃니 ≪1690 노언 상:28ㄴ
역질의 허며 실과 독이 깁프며 엿트미 오로 입예 이시니 ≪17세기 두경 39ㄱ
18세기 : (옅-, 엿-, 엿ㅌ-)
閣淺  여튼  거다 ≪1778 방유 해부:4ㄴ
긔 닑 효험이 엇지 엿고 엿리오1746 자성 내:9ㄴ
 엿 공덕이 아니나 진 유식 쟝부들은 보면 알아 봉기 쉽거니와 ≪1796 경신 85ㄱ
19세기 : (옅-, 엿-, 엿ㅌ-)
지튼 초록은 두 물이 먹이고 옅게 야 쓰랴면  물만 먹이되 ≪1869 규합 25ㄱ
얏다 淺 엿다1880 한불 15
먹 쟤 독긔가 경 병 되미 엿트니 경계기  오리라 ≪1883 이언 1:17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