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스라이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보기에 아슬아슬할 만큼 높거나 까마득할 정도로 멀게.
파란 하늘에 하얀 줄을 끌며 비행기 한 대가 아스라이 선회하고 있었다.≪이문희, 흑맥≫
보리밭은 아스라이 보이는 산기슭까지 넓은 해면같이 출렁이고 있었다.≪김동리, 까치 소리≫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아라히(15세기)>아라이(16세기~18세기)>아스라히(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스라이’의 옛말인 ‘아라히’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라히’는 ‘아라’와 ‘-’,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된 것이다. 이 ‘-’와 ‘-이’의 결합에서 ‘히’가 나타난 것인데 ‘히’에서 ‘ㅎ’이 탈락한 ‘아라이’가 15세기에도 드물게 보인다. ‘아라히’에서 제2음절의 ‘ㅿ’이 비음운화 되고 제4음절의 ‘ㅎ’이 탈락하면서 ‘아라이’가 된다. ‘’(>마을), ‘’(>가을)과 같이 ‘ㅿ’의 비음운화를 겪은 어형은 주로 ‘ㅿ’이 탈락한 형태가 표준어로 굳어진다. 이와 달리 ‘아라히’는 ‘ㅿ’의 비음운화를 겪은 ‘아라이’가 나타난 이후 표준어가 ‘아스라이’가 된 것이 특이하다.
이형태/이표기 아라히, 아라이, 아라히, 아라이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라히, 아라이))
즈추므로브터 아라히 열  남거니 ≪1464 영가 下:108ㄱ
世閒앳 緣故ㅣ 아라이 서르 지즈러 오놋다 ≪1481 두시-초 20:23ㄴ
16세기 : ((아라이))
동녁크로 리기를 아라이 야 ≪1588 소언 6:91ㄱ
17세기 : ((아라히, 아라이))
桃源ㅅ 안 아라히 랑고 ≪1632 두시-중 1:4ㄱ
世間앳 綠故ㅣ 아라이 서르 지즈러 오놋다 ≪1632 두시-중 20:23ㄴ
18세기 : ((아라이))
아라이 金鼓ㅣ 喧天 소를 들으니 ≪1721 오륜전비 7:14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