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덥ː따발음 듣기]
활용
더워[더워발음 듣기], 더우니[더우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대기의 온도가 높다.
날씨가 덥다.
오늘은 유난히 더운 날이다.
지중해 연안 지방은 여름에는 매우 덥고 건조하다.

역사 정보

덥다(15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덥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덥-’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덥-’,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 더우-, 더오-’로 나타나는 불규칙 용언이다. 15세기 중엽 이후 ‘ㅸ’이 모음 앞에서 반모음 [w]로 변화함에 따라 따라 ‘덥-, 더우-, 더오-’로 나타나게 되었는데, 현재는 ‘덥-, 더우-’만이 남아 있다.
이형태/이표기 덥-, -, 더우-, 더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덥-/-/더우-/더오-)
더 煩惱 煩惱ㅣ 블티 다라 나 거실 덥다 니라 ≪1459 월석 1:18ㄱ
모미 겨렌 덥고 녀르멘 고 ≪1459 월석 1:26ㄴ
四支옛 모 며 더운 氣分을 다 보라 야시 ≪1461 능엄 5:65ㄱ-65ㄴ
파와 차와 글힌 더온 믈 ≪1489 구간 1:101ㄴ
16세기 : (덥-/-/더우-/더오-)
가마 긁싯고 가마예 블 디더 덥거든 반 잔만 기름 두워 ≪1510년대 번노 상:21ㄴ
밤 구 제 더 氣韻이 소배 드러  심통애 들면  딜 씨니 ≪1517 몽산-고 33ㄴ
다가 어미옷 더온 거 머그면 더온 디옥 고 ≪16세기 장수 11ㄴ
17세기 : (덥-/더우-/더오-)
머리 덥고 발 니라 ≪1608 언두 상:50ㄴ
 술이나 더운 믈뢰나 고 ≪1608 언태 5ㄱ
나그내네 더오니 먹을다 니 먹을다 ≪1670 노언 상:57ㄱ
18세기 : (덥-/더우-/더오-)
溫凉은 덥도 아니코 도 아니케 란 말이라 ≪1737 여사 2:17ㄴ
이 구은 이 반은 고 반은 더우니1765 청노 4:14ㄱ
브르게 먹고 더온 옷 닙어 편안히 잇고 ≪1737 어내 1:17ㄱ
19세기 : (덥-/더우-/더오-)
隔壁헌 두 房에  房을 게 고  房을 덥게 야 ≪1895 국민 21ㄱ
오히려 거을 앗기지 아니고 더운 날을 꺼리지 아니고 ≪1892 성직 9:59ㄴ
여름의 더옴을 괴로와 그만두고 다음에 農夫가 되얏더니 ≪1896 심상 2:30ㄱ

관용구·속담(1)

속담더워서 못 먹고 식어서 못 먹고
이런저런 구실과 조건을 대면서 이러쿵저러쿵 불만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