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바로

- 품사
- 「부사」
- 「002」비뚤어지거나 굽은 데가 없이 곧게.
- 선을 바로 긋다.
- 이 나무는 바로 자란다.
- 담을 바로 쌓아라.
- 바로 앉아서 수업에 임해라.
- 모자를 바로 쓰고 옷매무새를 단정히 한 학생들이 교문을 들어선다.
- 막음례는 죄스러운 마음에 고개를 바로 들지 못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운전수 김 군이 마루 앞에 서 있다가 재빨리 허리를 굽혀 한익의 구두를 바로 놓는다.≪홍성원, 육이오≫
- 여러 배는 바로 나가기도 하고, 또는 옆으로 나가기도 하고 물러나기도 했으며 전진하기도 했다.≪고정욱, 원균 그리고 원균≫
- 갑자기 양 진사의 목소리가 가라앉자 대불이는 자기도 모르게 고개를 들어 눈을 바로 뜨고 양 진사를 마주보았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그러자 우현으로 경사되었던 선채가 바로 서는가 싶더니 이번에는 좌현으로 기울어져 갔다.≪천금성, 허무의 바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바(15세기~18세기>바로(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바로’의 옛말은 ‘바’이다. 이 형태는 15세기에서 19세기까지 2음절에서 ‘ㆍ’가 ‘ㅏ’로 변화하는 시기까지 쓰였다. ‘바로’는 16세기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바’는 ‘바다’의 어간일 가능성이 있으며 ‘바로’는 ‘바’에 부사화 접미사 ‘-오’가 결합된 단어일 가능성이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바, 바로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