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닥따

- 활용
- 닦아[다까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때, 먼지 녹 따위의 더러운 것을 없애거나 윤기를 내려고 거죽을 문지르다.
- 이를 닦다.
- 구두를 닦다.
- 방바닥을 걸레로 닦다.
- 열두 시가 채 못 되어 복도 골마루와 유리창까지 닦는 대청소가 끝나자, 말끔해진 교실에서 종례가 시작되었다.≪김원일, 노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따끄다(전남, 제주), 다끄다(제주), 데-다끄다(제주)
- 옛말
- 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9세기)>닦다(17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닦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닷-’으로, 그 외의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종성의 ‘ㅺ’이 ‘ㄲ’으로 바뀐 ‘닦다’는 17세기에 처음 등장하였는데, 문헌상으로는 자음 어미 앞에서 ‘닥-’으로 표기된 예만 보인다. 19세기까지 ‘다’와 ‘닦다’가 공존하다가 20세기에 ‘ㅺ’ 표기가 폐지되면서 모두 ‘닦다’로 통일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 닥-, 닥ㄱ-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닦은 방울 같다
- 눈이 빛나고 아름다운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