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동이

- 품사
- 「명사」
- 「001」질그릇의 하나. 흔히 물 긷는 데 쓰는 것으로 보통 둥글고 배가 부르고 아가리가 넓으며 양옆으로 손잡이가 달려 있다.
- 머리 위에 똬리를 얹고 동이를 이었다.
- 동이에는 물이 반쯤 차 있을 뿐, 오랜 장마로 흙내가 물씬거리는 부엌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한수산, 유민≫
관련 어휘
- 참고 어휘
- 독
- 지역어(방언)
- 도(강원, 경남, 중국 흑룡강성), 도오(강원, 경남), 도우(강원, 경북), 동오(강원, 경상, 충청), 동오-디이(강원), 동우(강원, 경남, 전남), 동해(경기), 또(경남), 도이(경북, 함북, 중국 길림성), 동(경북, 제주, 중국 흑룡강성), 동의(제주), 동애(평북), 동왜(평북), 도애(함북, 중국 길림성), 도왜(함북, 중국 길림성)
- 옛말
-
역사 정보
(15세기~16세기)>동(16세기~18세기)>동희(17세기~18세기)>동의(19세기)>동이(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동이’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 종성 ‘ㆁ’을 표기에 쓰지 않게 됨에 따라 ‘동’로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됨에 따라 17세기에는 ‘동희’로 나타난다. 19세기에는 제2음절 초성 ‘ㅎ’이 모음 사이에서 탈락하여 ‘동의’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에 ‘ㅢ’의 반모음이 탈락하여 ‘ㅣ’로 변화하면서 ‘동이’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동우’는 ‘동의’의 제2음절 모음 ‘ㅢ’가 ‘ㅜ’가 변화한 것으로서 현재는 방언에만 남아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 동, 동희, 동의, 동우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2)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