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입때

- 품사
- 「부사」
- 「001」((주로 ‘입때’ 꼴로 쓰여)) 지금까지. 또는 아직까지. 어떤 행동이나 일이 이미 이루어졌어야 함에도 그렇게 되지 않았음을 불만스럽게 여기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이나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어 옴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 입때 안 왔어.
- “어디! 어제 동경 떠났는데요. 입때 모르셨어요?” 이탁이는 깜짝 놀랐다.≪염상섭, 무화과≫
- 참으로 나의 처는 훌륭한 여자이었었네. 그런데 벌써 한 달은 되네. 자기 본가로 간다고 가더니 입때 아주 소식이 없네그려.≪송영, 석공 조합 대표≫
- “왜 입때 자지를 않소.” 아사달은 아내의 앞에 주저앉으며 번연히 아는 잠 안 자는 까닭을 물었다.≪현진건, 무영탑≫
- 입때까지 뭐했어?
- 월이 많이 흘러간 지금에 와서도 그때의 일이 통 잊히지가 않는구먼. 하지만 나는 이날 입때까지 그때의 내 결정을 한 번도 후회해 본 일이 없었네.≪이청준, 키 작은 자유인≫
역사 정보
이(16세기)>입(17세기~18세기)>입때(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입때’의 옛말인 ‘이’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는 지시사 ‘이’와 “때”를 뜻하는 ‘’가 결합된 것이다. ‘이’의 제2음절 초성 ‘ㅵ’은 ‘ㅂ’계 합용 병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ㅂ’계 합용 병서는 ‘ㅂ’이 음가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에서도 ‘ㅂ’이 음가를 가지고 있었음을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는 ‘입’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입’의 제2음절 초성 ‘ㅼ’은 근대 국어 시기에 된소리 ‘ㄸ’로 소리 났는데 ‘ㄷ’의 된소리 표기가 ‘ㅼ’에서 ‘ㄸ’으로 바뀜에 따라 ‘입’가 ‘입때’로 표기되면서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이, 입, 입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