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사타구니

- 품사
- 「명사」
- 「001」‘샅’을 낮잡아 이르는 말.
- 그는 두 손을 사타구니 속에 찌르고 몸을 웅크리면서 작은아버지에게 갈까 말까 하고 망설였다.≪한승원, 해일≫
- 그는 수리봉 쪽을 향해 사타구니까지 차오르는 여울목 물을 옷을 입은 채 철벙철벙 건너고 있었던 것이다.≪전상국, 하늘 아래 그 자리≫
관련 어휘
- 준말
- 사타귀
- 지역어(방언)
- 사타궁이(강원), 사티기(강원), 사타구리(경남), 사타리(경남), 사타래이(경북), 사탈구리(경북), 사탈구지(경북), 자갑(경북), 사탕고리(전남), 사태리(전남), 살타구(전남), 아금-쟁이(전남), 새타구니(전라), 사태구니(전북), 사태이(전북), 강알트멍(제주), 보뎅잇-바위(제주), 샅-궹이(제주), 사타굼지(충남), 사태구리(충남), 사타고니(충북), 사타구이(충북), 사타금지(충청), 살타구니(충청, 중국 길림성), 사차구(평남), 사차구이(평남, 황해), 사차구니(평안, 황해), 사창구(평안), 새채기(함경), 사차귀(황해), 새추래기(황해), 새치기(황해)
역사 정보
사타군리(19세기)>사타구니(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사타구니’의 옛말인 ‘사타군리’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샅’과 접미사 ‘-아구니’가 결합한 것이다. ‘샅’은 그 자체로는 용례가 보이지 않으나 ‘삿’이라는 단독 형태로 쓰이고 있는 점과 ‘사타구니, 삿타기’ 등 접미사가 붙은 단어를 종합해 보면 ‘샅’을 분석해 낼 수 있다. 접미사로 보이는 ‘-아군리’는 현재 어형 ‘사타구니’를 분석한 ‘-아구니’와 형태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정확한 의미와 기능은 알 수 없다. ‘삿타기’는 중철 표기된 것으로 보이는데 ‘샅’과 접미사 ‘-아기’로 분석할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사타군리, 삿타기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관용구사타구니를 긁다
- 알랑거리며 남에게 아첨하다.
- 일이 꼬일 것을 직감한 대리는 담당 과장의 사타구니를 긁을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 속담사타구니에 방울 소리가 나도록
- 아주 급하게 뛰어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