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쏟따

- 활용
- 쏟아[쏘다



- 품사/문형
- 「동사」 【…에/에게 …을】【…을 …으로】
- 「001」액체나 물질을 그것이 들어 있는 용기에서 바깥으로 나오게 하다.
- 바닥에 물을 쏟다.
- 쌀통에 쌀을 쏟아 넣었다.
- 옆에서 치는 바람에 들고 있던 우유를 어떤 손님에게 쏟고 말았다.
- 폐수를 하천으로 몰래 쏟아 버렸던 업주들이 구속되었다.
- 청년은 남은 소금도 마저 입에 털어 넣더니 호주머니에서 은단을 꺼내 입에 쏟아 넣었다.≪이문구, 장한몽≫
역사 정보
솓다(15세기~17세기)>다(16세기~19세기)>쏫다(18세기~19세기)>쏟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쏟다’의 옛말인 ‘솓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의 ‘다’는 어두 경음화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다만 ‘ㅆ’으로 적혀야 할 것이 ‘ㅄ’으로 적힌 것은 이 시기부터 ‘ㅆ’과 ‘ㅄ’이 거의 같은 소리를 내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문헌에서부터 ‘ㅆ’으로 적힌 ‘쏫다’가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음절 말에서 ‘ㅅ’과 ‘ㄷ’의 대립이 사라지면서 ‘다’와 ‘다’, ‘쏫다’와 ‘쏟다’가 함께 쓰인다. 원래의 받침 ‘ㄷ’을 살려 쓴 ‘쏟다’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솓다, 다, 다, 쏫다, 쏟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