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낟추다

- 활용
- 낮추어[낟추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아래에서 위까지의 높이를 기준이 되는 대상이나 보통 정도에 미치지 못하는 상태가 되게 하다. ‘낮다’의 사동사.
- 몸을 낮추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초다(15세기~19세기)>초다(17세기~19세기)>낫추다(19세기)>낮추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낮추다’의 옛말인 ‘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초-’는 “낮다”의 의미인 ‘-’과 접미사 ‘-호-’가 결합한 파생어로서 ‘-’의 종성 ‘ㅈ’과 접미사 ‘-호-’의 초성 ‘ㅎ’이 축약되어 ‘초다’로 표기된 것이다. 17세기 이후 ‘초다’의 제1음절 종성에 ‘ㅅ’이 삽입된 ‘초다’가 나타나는데, 이때의 ‘ㅅ’은 ‘다’의 종성 ‘ㅈ’을 표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5세기부터 종성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의 여덟 자음만을 쓸 수 있다는 8종성법이 있었기 때문이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초다’의 ‘’이 ‘낫’으로 변화하고, 제2음절 모음 ‘ㅗ’가 ‘ㅜ’로 변화하여 19세기에는 ‘낫추다’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원래의 형태를 밝혀 적는 표기 원칙에 따라 ‘낮추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초다, 초다, 낫추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