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말리다

- 활용
- 말리어[말리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4」다른 사람이 하고자 하는 어떤 행동을 못 하게 방해하다.
- 싸움을 말리다.
- 주모가 방으로 들어와 망태기를 치우겠다는 것을 웅보가 말렸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과음하는 것 같아 나는 곧 술을 더 해서는 안 된다고 말렸다.≪오상원, 백지의 기록≫
- 명선이는 돈 들여 가며 요릿집에는 왜 가느냐고 말리는 기생이요….≪염상섭, 그 그룹과 기녀≫
- 안팎식구들이 더 묵어가라고 말리는데도 불구하고 오십 리를 걸어서 집으로 돌아왔다.≪이기영, 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말-기다(강원, 경남, 전라, 충남), 말루다(경남), 몰라다(경남), 몰리다(경남, 전남), 몰루다(전남), 몰리-우다(전남), 말게다(전라), 멀리다(제주)
- 옛말
- 말이다
역사 정보
말이다(15세기~17세기)>말리다(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말리다’의 옛말인 ‘말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말이다’는 “그만두다”의 의미인 ‘말-’과 사동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다. 16세기에 유성 후두 마찰음 ‘ㅇ’[ɦ]이 소멸하고 ‘ㄹ’이 추가되면서 16세기에는 ‘말리다’로 나타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 문헌에서 ‘말리다’는 확인되지 않고 ‘말니다’만 나타난다. ‘말니다’는 어중 ‘ㄹㄹ’을 ‘ㄹㄴ’으로 적는 표기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므로, 이를 통해 같은 시기에 ‘말리다’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말이다, 말니다, 말리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