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외롭따


- 활용
- 외로워[외로워




- 품사
- 「형용사」
- 「001」홀로 되거나 의지할 곳이 없어 쓸쓸하다.
- 외로운 생활.
- 너마저 떠나면 나 혼자 외로워서 어쩌니.
- 사랑은 생명을 지닌 외로운 사람들에게 그 사는 소중한 힘을 준다.
- 편지를 기다리는 삶, 그것은 외로운 생활이다.
- 진희는 외로워서 진종일 눈물로만 세월을 보냈다.
- 바우 역시 어렸을 때 영산강 큰물에 부모를 잃고 꼴머슴으로 그 집에 빌붙어 살아온 터라 피붙이가 없는 외로운 사람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죄인의 몸이 되어 강진에 유배된 그는 죄인과의 접촉을 두려워하는 고장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는 외롭고 서러운 신세였다.≪한무숙, 만남≫
- 새벽의 질척한 골목길을 외롭게 걸어가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그녀는 한순간 본 듯했다.≪이동하, 도시의 늪≫
- 두메는 항상 외로웠고 쓸쓸했다. 사람이 그리웠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외다(15세기~17세기)>외롭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외롭다’의 옛말인 ‘외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외다’는 “하나, 혼자”를 의미하는 명사 ‘외’에 형용사파생접미사 ‘--’이 결합한 것이다. 15세기의 ‘외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외-’으로, 모음이나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외-’로 이형태 교체를 하였다. 15세기 중엽에 ‘ㅸ’이 반모음 w로 변화하면서 ‘외-’는 ‘외외-’로 변화하였다. 또한 15세기에는 제2음절 종성 ‘ㅂ’의 영향으로 제2음절 모음 ‘ㆍ’가 ‘ㅗ’로 바뀐 ‘외롭-’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외롭-’은 매개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외로오-’로 나타났다. 17세기까지는 ‘외->외롭-’의 이형태로 ‘외외->외로외-’와 ‘외로오-’가 공존하다가 18세기 이후로는 ‘외로오-’만 남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외-, 외-, 외외-, 외로외-, 외롭-, 외로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3)
- 속담외로운 군사에 약한 병졸
- 가뜩이나 혼자 있어 외로운 병아리에 쥐까지 달려든다는 뜻으로, 아주 어려운 상황에 놓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외로운 병아리에 쥐 달리듯’
- 속담외로운 병아리에 쥐 달리듯
- 가뜩이나 혼자 있어 외로운 병아리에 쥐까지 달려든다는 뜻으로, 아주 어려운 상황에 놓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외로운 군사에 약한 병졸’
- 속담외로운 뿌리 잘 살지 못한다
- 식물도 곁에서 함께 자라는 것이 있으면 잘 자라지만 따로 기를 때에는 잘 자라지 못한다는 뜻으로, 외아들은 잘못되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